춘천 국가시범지구 계획(안). 춘천시 제공강원 춘천 캠프페이지가 5일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 상반기 도시재생혁신지구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 쇠퇴했던 구도심을 청년의 희망과 도시의 성장을 품는 새로운 거점으로 재탄생시키기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이날 시청 브리핑룸에서 직접 브리핑을 열고, 이번 공모사업에서 춘천이 최종 선정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도시재생혁신지구는 '도시재생특별법'에 근거해 국가가 직접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쇠퇴한 도심에 산업·상업·복지 기능을 집약해 새로운 성장 거점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대규모 유휴부지 활용, 주택도시기금(출자·융자·보증) 지원, 통합심의를 통한 절차 간소화 등 강력한 재정·행정 지원을 통해 쇠퇴지역을 국가 차원의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춘천시는 옛 캠프페이지(근화동 198 일원) 부지 중 일부 12만㎡ 규모에 시민공원과 함께 첨단영상산업 클러스터, 대형 복합스튜디오, 컨벤션센터 등을 조성하는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또한 공원과 어우러지는 개방형 공간과 축제광장을 조성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문화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총 사업비는 3,568억원 규모로 시는 이번 공모에 선정되면서 국비 250억원의 재정 지원을 확보했다. 사업시행자는 주택도시기금과 지자체가 공동으로 출자하는 리츠(부동산투자회사)로 지정해 안정적 재원조달을 보장하고 있다.
이번 선정에 따라 춘천시는 관련 법 절차에 따라 곧바로 후속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우선 주택도시기금과 협의를 통해 시행자인 리츠를 설립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춘천도시재생 혁신지구. 춘천시 제공이번 사업은 단순한 개발이 아니라 지방소멸을 막고 청년에게는 일자리를, 도심에는 활력을, 시민 모두에게는 자부심을 주는 국가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춘천시는 특히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첨단영상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도시재생혁신지구에 들어서는 첨단영상산업 클러스터는 VFX(시각효과)를 비롯한 첨단영상산업을 유치하는 핵심 거점이 될 전망이다.
시는 사업 추진을 위해 강원대 등 지역 대학과 협력하고 기업 및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외 영상 제작사 유치와 인재 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강원대도 VFX 관련 학과 신설을 계획, 청년 인재 육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시는 이와 같은 노력을 기반으로 국내외 영상 제작사와 협력해 VFX와 AI가 결합된 차세대 K-콘텐츠 산업을 선도하는 거점을 캠프페이지에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공모 선정은 수년간 이어진 지역 내 논의와 갈등, 그리고 강원도의 반대라는 불리한 환경 속에서도 시민들과 함께 거둔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시는 설명했다. 춘천 캠프페이지는 2008년 발전종합계획에서 공원과 개발을 병행하는 안이 마련된 이후, 2019년 문화공원 지정과 도청사 이전 논의까지 맞물리며 활용 방안을 두고 끊임없이 논란이 제기돼 왔다.
특히 이번 도시재생혁신지구 공모 과정에서도 '전면 공원화'와 '개발 병행' 사이의 시민 갈등이 지속됐고, 강원도는 도시기본계획 및 발전종합계획 변경 문제를 이유로 공모에 반대해 지난해 1차 도전은 무산되기도 했다.
이에 춘천시는 시민공청회, 사업설명회, 여론조사, 그리고 3600여 명의 찬성 서명 등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며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5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브리핑을 열고 '2025년 상반기 도시재생 혁신지구 공모사업'에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진유정 기자춘천시는 이번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선정으로, 오랜 50년의 기다림을 넘어 앞으로 100년을 내다보는 '미래도시 춘천'의 청사진을 본격적으로 구체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강원도와의 불필요한 갈등을 피하고 협력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 도시재생혁신지구를 비롯한 각종 미래지향적 사업들을 시민에게 온전히 돌려줌으로써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시재생 성공 모델로 자리매김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도시재생 혁신지구는 춘천의 미래를 바꾸는 결정적 전환점이다.청년에게는 꿈과 일자리를, 도시에는 새로운 생명력을, 그리고 시민 모두에게는 자부심을 드리게 될 것이다"며 이어 "이제는 강원도도 불필요한 논란을 내려놓고 진정으로 동반자적 태도를 보여줘야한다. 그것이 도와 시가 함께 책임을 다하는 길이며 남겨져 있는 미래 지향적 사업들도 시민께 온전히 돌려드리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강원특별자치도는 입장문을 통해 "공원 해제가 전제돼야 사업 시행이 가능하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정"이라며, "강원도는 국토부의 이번 결정을 존중하고 앞으로 캠프페이지 활용 방안을 춘천시민과 함께 전략적 비전을 갖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