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미국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에서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부기관장 및 5대 금융지주 CSO 등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과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금융위원회 제공금융권이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한국 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내년까지 267조원의 금융지원에 나선다. 금융위원회는 3일 '미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를 열어 이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정책금융기관은 관세위기에 대응해 내년까지 총 약 172조1천억원을 지원한다. 연초부터 지난달 말까지 약 63조원이 공급됐다.
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36조3천억원), 수출다변화(33조3천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91조5천억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 4대 분야다.
관세 피해 중소·중견기업에 긴급 경영 자금을 지원하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위기대응지원 특별프로그램'이 주요 상품이다.
산은은 지원 대상을 관세 피해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한도도 10배 증액(중견 50억→500억·중소 30억→300억)할 계획이다. 적용 금리도 기존 최저금리 대비 0.5%포인트 인하까지 더 낮춘다.
5대 금융지주는 내년까지 총 95조원을 지원한다. 연초부터 지난달 말까지 공급된 규모는 약 45조원이다.
주요 상품은 △유망성장산업, 제조업 중소법인 대상 특별 금리 우대, △신기보, 지역보증 특별출연을 통한 대출 지원, △현대·기아차 협력사 대출지원(이상 KB금융), △미래혁신산업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대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산업단지 전용 신상품(이상 신한금융), △자동차 산업 수출경쟁력 강화 프로그램(하나금융), △수출기업 등 유동성 공급 및 금융비용 경감(우리금융), △소부장 등 중소·중견기업 P-CBO 발행확대, 관세피해 대기업 협력업체 금리우대(이상 농협금융) 등이다.
이와 함께 금융위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을 추진 중이다. 수출 기반 주력 산업의 사업재편과 재무 건전성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6호 펀드 지원 대상은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산업의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다.
원활한 민간투자 유치를 위해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펀드 대비 확대(5%→10%)하고, 펀드 조성 금액의 60% 이상을 주력 산업에 투자한다.
금융위 권대영 부위원장은 "금융지원이 단순히 생존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피해기업이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도록 든든한 기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