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헥토그룹 "K-컬처와 원화 스테이블코인 연계로 글로벌 금융·문화 혁신 주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헥토파이낸셜, 정책 세미나에서 K-컬처와 디지털 금융 결합 청사진 제시
'K-컬처 활용 원화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확장 전략' 발표…수요 확대 해법 모색
국회·학계·산업계 주요 인사 집결…디지털 금융 주권 확보 논의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제도화와 활용 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룬 정책 세미나에서 헥토그룹이 K-컬처와 디지털 금융을 연결한 신성장 비전을 내놨다.

헥토그룹은 연간 1200조 원 규모의 글로벌 핀테크 인프라를 토대로, K-컬처 300조 원 시대와 연간 3천만 명 방한 관광객 시대를 뒷받침하는 문화 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지난 2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디지털금융 주권, K-스테이블코인 활용 방안' 정책 세미나에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와 수요 활성화가 핵심 의제로 논의됐다. 이번 행사는 디지털투데이가 주최했으며, 국회, 학계, 산업계 인사들이 참여해 디지털 금융 주권의 중요성을 공유했다.

국회에서는 디지털자산기본법을 최초 발의한 민병덕 의원(더불어민주당·정무위), 박정하 의원(국민의힘·문체위), 한민수 의원(더불어민주당·과방위)이 참석해 금융주권을 확보하려면 금융·문화·IT 역량을 함께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유신 서강대 교수 겸 AI·디지털경제금융포럼 회장도 글로벌 규제 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을 주문했다.

산업계는 스테이블코인이 한국 경제의 차세대 성장 엔진이 되어야 한다는 데 목소리를 같이했다. 특히 헥토파이낸셜의 최정록 상무는 주제 발표에서 'K-컬처를 활용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확장 전략'을 제시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최 상무는 "K-컬처는 전 세계 팬이 참여하는 Web3형 문화 생태계이며, 이를 초국경 금융 인프라와 연결할 경우 훨씬 더 큰 경제적 파급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헥토그룹은 IT정보서비스(헥토이노베이션), 핀테크(헥토파이낸셜), 글로벌 K-컬처 미디어(헥토미디어·K-snapp)라는 3대 사업 축을 통해 이 비전을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이번 세미나를 출발점으로 앞으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대한민국이 세계 금융의 중심 무대에 당당히 설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