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트럼프 "애플, 삼성 등 해외산 휴대폰 6월말에 관세 부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아이폰 인도로 가도 관세없이 미국 판매는 안돼"
베선트 "애플이 반도체 공급망 안전을 돕기 원해"

연합뉴스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에서 생산된 애플 아이폰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천명한 가운데, 삼성 등 해외에서 생산된 다른 휴대전화에도 동일한 잣대를 들이댈 것임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삼성 등 제품을 해외에서 만드는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6월 말까지 그것을 적절하게 해서 시작할 것"이라고 말해 해외에서 수입되는 휴대전화에 대한 관세를 다음달 말부터 부과할 뜻임을 내비쳤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면 관세는 없다"고 강조하며 "아이폰 공장이 인도로 가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그렇다고 관세 없이 미국에서 판매할 수는 없다"고 못박았다. 
 
아이폰 물량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은 트럼프발(發) 글로벌 관세 전쟁의 영향 등으로 중국 중심의 제조 기반에서 벗어나 인도로 무게 중심을 급격히 옮기고 있다. 
 
일부 언론은 애플이 내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연간 6000만 대의 아이폰 전량을 인도산으로 조달할 계획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신의 SNS에 올린 글에서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 혹은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팀 쿡 애플 CEO에게 오래전에 알린 바 있다"며 압박을 가했다. 
 
이와 관련해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난 우리의 가장 큰 취약점이 반도체의 해외 생산이라고 생각한다"며 "애플에 들어가는 부품의 큰 부분은 반도체이기 때문에 우리는 애플이 반도체 공급망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돕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대 사태와 관련해 '다른 대학에도 외국 유학생을 받지 못하도록 조치할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는 "우리는 많은 것을 살펴보고 있다"면서 "하버드대는 운영 방식을 변경해야 한다"라고 답했다. 
 
미 매사추세츠 연방법원은 이날 오전 정부의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SEVP) 인증 취소의 효력을 중단해 달라는 하버드대의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다. 일단 하버드대의 SEVP 인증 취소는 하루만에 효력이 중단됐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