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과 약국 간 이동 경로. 붉은색 실선은 병원과 약국간 기존 이동 경로이며, 푸른색 실선은 희망 이동 경로. 창원상의 제공 창원상공회의소가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인접 주거지역에 약국 설치가 가능하도록 창원특례시에 토지용도 변경을 건의했다.
창원상의는 23일 건의문을 내고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은 2016년 개원 이후 지역 공공의료 거점 기능을 하고 있으며, 의료진 1700명에 하루 평균 1700여 명의 외래환자가 방문하고 있고, 입원환자와 보호자를 포함하면 2000명 이상이 병원을 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100여 병상 증설과 함께 어린이재활병원이 건립 중에 있어 향후 병원 이용객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병원 인근에는 약국이 입주 가능한 부지가 전무하다"며 "이로 인해 환자와 보호자는 진료 후 처방전을 들고 400~600m를 도보 또는 차량으로 이동해 인근 약국을 이용하고 있어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상의는 "특히 환자 또는 보호자가 도보로 이동 시에는 경사가 심한 언덕길을 통과해야 하고, 차량 이용 시에는 병원 주변에 별도의 약국 주차시설이 없어 불법 주차가 빈번해 민원도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창원지역 내 다른 주요 대형 병원은 모두 병원으로부터 150~200m 이내 평지에 약국이 있지만, 창원경상대병원만 유일하게 약국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는 자체 결과도 제시했다.
상의는 "현재 제1종 전용주거지역으로 지정된 병원 후문 성주동 외리 인접 주택단지의 허용 용도에 '1종 근린생활시설 가목-의약품, 의료기기'를 추가할 것을 건의한다"면서 "해당 조치가 이뤄지면 의료 접근성 향상은 물론, 이로 인한 편익은 성주지구 상가의 기회비용에 비해 월등히 클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상의 관계자는 "창원경상대병원을 찾는 환자와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개선이 이뤄져야 하며, 약국 접근성 문제는 단순한 거리의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건강권과 직결된 사안"이라며 "이번 건의가 도시계획에 반영돼 보다 나은 의료 환경과 시민 편의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