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이미지 제공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촉발한 무역분쟁으로 대미 수출이 13%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업종별‧차주별 관리에 나선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대미 수출이 기존보다 13% 이상 감소하고 국내 부가가치 손실 규모가 10조 6천억원 이상일 것으로 추산했다.
IBK경제연구소는 관세 25% 부과에 따라 대미 수출 12.8%, 전체 수출 4.6% 등이 각각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자동차(-18.6%)와 일반기계(-39.7%) 등 주력 산업 대부분이 대미 수출에 직격탄을 맞고 반도체는 수출 증가율이 1%대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산업별 관세 부과 시 수출 증감률 추정. 연합뉴스앞서 산업연구원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 10%, 중국에 60%, 한국 등 다른 국가에 20%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전제로 대미 수출이 13.1% 감소할 것으로 관측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이 한국에 적용한 관세는 25%로 연구원의 예측치보다 수출 악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KB국민은행은 5일부터 적용된 보편관세 10%의 여파로 산업별로 평균 1~2%, 최대 4%의 영업이익률 하락을 예측했다.
이에 따라 주요 은행은 긴급회의를 열거나 위기관리 협의회 등을 통해 시장 상황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산업 전반의 기업대출 부실 위험이 커지면서 업종별‧차주별 관세 영향을 분석 중이다.
하나은행은 위험에 노출된 이차전지 산업 등을 중점관리업종에 편입했고, 관련 여신 집중도 완화에 나섰다. 잠재 부실 영역을 조기에 선정하고 연체 관리 강화로 자산 건전성 관리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대미수출이나 판매 비중이 큰 산업 등을 중심으로 수출 감소 영향과 재무적 대응 능력을 고려해 리스크 수준을 파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관세 영향을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등으로 차별화해 모니터링하고, 상반기 말 정기 산업 등급 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다.
IBK기업은행은 '관세 영향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차주별 영향 정도를 분류하고, 시나리오별 대응책 보유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중점 관리 대상 여신을 선정해 기업 여신 부실 징후에 대응하고, 대외 리스크 민감 업종의 여신 규모와 연체율 추이 등을 상시 점검하고 있다.
한편 6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 관세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저리 보증부 대출 등 금융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