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문자, 2차계엄 터진 줄"…시민들 트라우마 호소
박종민 기자·스마트이미지 제공한밤중 울린 재난문자에 '강제 기상'한 시민들이 '2차 계엄'이 발생한 줄 알았다며 내란 트라우마를 호소했다.
7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 35분쯤 충주시 북서쪽 22㎞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
최초 관측 규모가 4.0 이상이었기 때문에 '지진 재난문자 송출 기준'에 따라 충청권을 비롯해 서울, 인천, 강원, 전북, 경북, 경남 등 전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됐다.
이날 새벽 SNS에는 '재난 문자' 관련 글이 줄지어 올라왔다. 다수의 누리꾼은 재난문자 경보음에 '내란', '전쟁' 등을 떠올렸다며 내란 트라우마를 호소했다.
SNS 캡처한 누리꾼은 "재난문자 알람에 깜짝 놀랐다. 이 XX가 혹시 또 내란을 일으켰나 싶어서 심쿵했다"며 "아무튼 지진 피해가 없길 바란다"고 남겼다.
또 다른 누리꾼은 "재난문자를 받고 '계엄인가?', '미친개들이 으르렁해서 전쟁 난 건가' 싶어 심장이 쿵 떨어졌다"며 "계엄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가 크더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평소엔 재난문자 알림에 놀라지 않았는데, '내란성 반응' 맞는 것 같다", "계엄 때는 문자도 없더니…. 재난 알람에 계엄 트라우마가 올라와 잠이 안 온다"등의 글이 올라왔다.
반면, "잠에서 깼다는 것은 재난문자가 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도한 의미 부여를 하지 말자"는 반응도 있었다.
물거품 된 '대왕고래'…액트지오는 40억 먹고 떠났다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석유, 가스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사의 대표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 박종민 기자·스마트이미지 제공윤석열 정부가 띄운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이 나온 가운데, 정부가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제기한 미국 업체 '액트지오'에 40억 원의 용역비를 지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1차 시추 결과에 대해 "대왕고래 1차 탐사 시추 작업 결과 가스 징후가 일부 있음은 확인했지만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기자회견을 열어 최대 경북 포항시 영일만 일대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발표해 관심을 모았던 사업이다.
보도에 따르면 석유공사가 대왕고래 시추에 들인 예산은 총 1천억 원이다. 미국의 자문업체인 액트지오에는 40억 안팎의 용역비를 지불한 것으로 전해졌다. 액트지오는 한국석유공사 등에 낸 용역 보고서를 통해 영일만 가스·석유가 매장 가능성을 제기한 심해 기술평가 전문기업이다.
액트지오 본사로 알려진 미국 텍사스 휴스턴의 한 가정집·미국 액트지오사의 대표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 온라인커뮤니티 캡처·인천공항=박종민 기자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이 나오며 액트지오의 신뢰성에 또 논란이 일고 있다.
앞서 액트지오는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운영하는 사실상 1인기업이라는 것과 사무실이 미국 텍사스주의 한 가정집으로 되어있다는 것이 알려지며 논란을 산 바 있다.
액트지오가 세금을 체납해, 한국 정부와 용역 계약을 체결할 당시에는 법인 자격이 말소된 상태였던 사실도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7월에는 '잠적' 논란이 일었다. 엑트지오 사무실에 전달부터 일반 임차인이 들어와 살고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다.
한편, 액트지오는 최근 울릉분지에(마귀상어) 51억 배럴 이상의 추가 가스·석유가 묻혀 있을 가능성을 내놓았다. 이와관련 산업통상자원부는 '마귀상어'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성 검증 작업에 있다고 전했다.
계엄사령관, 1월에만 2200만원 받았다…'떡값·월급' 논란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 윤창원 기자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 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지난달 월급과 설날 상여금으로 약 2230만원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6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2025년 1월 급여지급 현황'에 따르면 박 총장은 지난달 10일 월급으로 총 1671만 6660원을 받았다. 10여 일 뒤인 24일에는 설날 명절휴가비로 557만 6100원을 수령해 이달에만 약 2230만원을 받았다.
12·3 내란 당시 군병력을 동원한 핵심 지휘관들 역시 비슷한 수준의 명절휴가비를 받았다. 국회로 투입된 계엄군 지휘관인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육군 준장)은 지난달 24일 547만 6680원을,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육군 중장)은 553만 780원을 수령했다.
계엄 선포 이후 주요 인사 체포 시도 혐의를 받는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육군 중장)은 547만 6680원을, 계엄 당일 선관위에 정보사 병력을 투입하라는 지시를 내린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육군 소장)은 458만 5440원을 각각 받았다.
한편, 박안수 전 총장을 제외한 여 전 사령관 등 4명은 이날 보직해임에 이어 기소휴직 처리됐다. 보직해임 또는 기소휴직의 경우 월급의 50%를 받고 상여금도 수령할 수 있다.
국방부는 12.3 사태 당시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됐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에 대해서는 보직해임 심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기소휴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