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최근 북러 군사 협력 심화로 일각에서 한국의 자체 핵무장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것과 관련해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이 지금 한국에 제공하는 확장억제(핵우산)가 적절한 수준"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캠벨 부장관은 이날 미국외교협회(CFR) 행사에서 '한반도에서 핵 억제력 강화를 위해 워싱턴 선언 외에 추가 조치가 필요하냐'는 질문을 받고는 "워싱턴 선언이 우리가 지금 대응하는 데 필요한 것을 제공했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4월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을 계기로 양국 정상이 발표한 '워싱턴 선언'은 미국이 한국에 확장억제 제공을 한층 강화하는 대신 한국은 자체 핵무장을 하지 않는다는 합의였다.
또한 캠벨 부장관은 "워싱턴 선언 이후 한국에서는 동북아시아의 핵우산이 강력하고 지속적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겠다는 미국의 의도를 인식했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다만 그는 "북러 협력이 역내 국가들에게 자국의 군사 및 기타 조치를 다시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는 데 동의한다"며 "미국은 동북아시아 국가들 특히 한국과 일본에 대한 확장억제 공약에 매우 집중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24년만의 방북 등 최근 북러 협력 심화와 관련해 캠벨 부장관은 "북러 파트너십에 한계가 있긴 하지만 그들을 무시할 수 없다"며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핵, 장거리 미사일 개발 계획과 관련된 지원을 받을 수도 있고 에너지 같은 다른 것일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북러 간 유례없는 밀착으로 인해 다소 수그러들었던 한국의 핵무장론도 다시 힘을 얻고 있는 분위기다.
최근 국정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자체 핵무장을 포함해 북핵 대응 옵션 다각화를 검토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한반도 정책 실무를 담당했던 앨리슨 후커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지난 21일 "한국이 자체 핵무장을 향해 계속 나아가고 있으며 어쩌면 더 빠른 속도로 나아간다는 사실을 배제할 수 없다"며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 심화가 확실히 한국을 그런 방향으로 내몰고 있다"고 말했다.
미 의회 상원 군사위원회의 공화당 간사인 로저 위커 의원도 최근 본회의에서 "푸틴의 24년 만의 방북은 새로운 안보 현실을 보여주는 신호이고 미국과 동맹, 전 세계 자유 세력에 나쁜 뉴스"라며 "동맹국인 한국, 일본, 호주와 핵 공유(nuclear burden-sharing) 협정을 논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