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방북, 달러 대신 루블화 결제…분리불가한 안전구조 건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푸틴 18일 방문에 앞서 노동신문에 기고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담길 방안 시사

연합뉴스연합뉴스
북한을 방문하는 푸틴 대통령이 18일 북한 노동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우리는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무역 및 호상결제체계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해, 러시아 루블화를 중심으로 하는 무역결제시스템의 가동과 북한의 참여를 시사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연대를 이어가는 친선과 협조의 전통'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우리는 국제관계를 더욱 민주주의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로 만들기 위하여 밀접하게 협조할 용의가 있다"며 "이를 위해 우리는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무역 및 호상결제체계를 발전시키고 일방적인 비합법적 제한조치들을 공동으로 반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북한과 러시아가 기축통화인 달러화 결제 대신 루블화 중심의 무역결제시스템을 발전시켜 금융 등 국제제재에 공동 대응하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앞서 북한과 러시아는 지난 2014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한 경제공동위원회에서 루블화를 쌍무 교역의 주요 통화로 사용하기로 합의한 바 있으나, 달러를 선호하는 북한의 경향이 강한 데다 두 나라의 교역량이 미미해 실질적인 진전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무기거래 대금 등 교역량이 커지자 러시아의 적극적인 의지에 따라 루블화 결제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한 것으로 보인다. 
 
양국 간에 루블화 결제체계를 가동하거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확대한 독자 지급결제시스템인 SPFS(System for Transfer of Financial Messages)에 북한을 참여시키는 방안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아울러 북한과 "유라시아에서 평등하고 불가분리적인 안전구조를 건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분리불가'의 안전구조는 미국에 반대하는 북·러 군사협력의 강화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또 양국의 인도주의적인 협조 발전, 북·러 고등교육 기관 간 과학 활동 활성화, 상호 관광 여행·문화 및 교육·청년·체육 교류 활성화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이 언급한 이런 협력 방안은 김정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 뒤 서명할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등에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전날인 17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 문서가 체결된다면 현재의 세계 지정학적 상황과 러시아와 북한의 양자 관계 수준을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특히 이 문서가 지난 1961년 옛 소련과 북한의 '조·소 우호 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 2000년 '우호·선린·협조 조약' 등과 같은 기본문서들을 대체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러 두 정상이 서명하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은 양국의 새로운 군사협력 구조를 뒷받침하는 문서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