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제공임금 못지않게 유연한 근무형태나 발전 가능성 등의 근무 여건(job amenity)을 중요하게 여기는 근로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3일 공개한 '근무 여건 선호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에서 직업 선택시 근무 여건을 주요 고려사항으로 여기는 비중이 31.5%로, 임금의 26.8%를 넘어섰다.
한은은 유연근무, 재택근무, 육체적 강도, 업무 강도, 업무 자율성, 업무 독립성, 발전 가능성, 직업 보람 등 8개의 근무여건 항목을 설정해 직업별 근무 여건 지수를 산출했다.
한국은행 제공그 결과, 근무 여건 지수가 가장 높은 직업은 법률·감사 사무 종사자, 상품기획·홍보·조사 전문가, 기타 전문 서비스 관리자, 법률 전문가, 디자이너 등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 금융보험, 교육, 전문과학기술 등이다.
이들 직업은 육체적 활동이 적고 유연근무, 재택근무 등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직업이다. 또,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인의 업무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반면,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조업과 건설업은 업무 특성으로 인해 근무 여건 지수가 평균을 밑돌았다.
한국은행 제공그렇다면, 누가 근무 여건 지수가 높은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었을까. 한은 분석 결과, 여성과 저연령층, 고학력자였다.
근무 여건을 화폐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소득 불평등은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5분위 배율(상위 20% 소득/하위 20% 소득)이 4.0에서 4.2로 오히려 더 커졌는데, 고소득 근로자들이 근무 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한은 보고서는 설명했다.
한국은행 제공반면, 남성과 여성 간 임금 격차는 줄었다. 남성 대비 여성의 상대임금은 70.5%에서 73.6%로 상승했다. 여성들이 근무 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더 많이 종사할 뿐만 아니라 근무 여건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수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앞으로 경제활동인구에서 여성과 고령층 비중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근무 여건이 나쁜 일자리는 인력난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 노동시장의 근무 여건을 개선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