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이미지 제공세계 교역의 성장 속도가 글로벌 분절화, 통화 긴축, 서비스 중심 경제 회복 등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장기적·추세적으로 계속 둔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글로벌 성장·교역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1~2023년 중 교역탄성치(세계 경제성장 대비 교역증가율)는 1.2로, 금융위기 당시(1.6)보다 낮았다.
한국은행 제공
특히 지난 2023년의 경우 교역탄성치가 0.3으로, 세계 교역이 전체 경제 성장에 비해 매우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의 분절화 심화, 통화긴축, 서비스 중심 회복이 교역 둔화의 배경으로 꼽혔다.
미·중 무역 갈등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경제가 쪼개지는 분절화(fragmentation) 현상이 심해진데다, 세계적 통화 긴축과 2022년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주로 서비스 부문 회복으로 상품 교역이 더 위축됐다는 얘기다.
올해는 팬데믹 이후 세계교역과 관련한 세 가지 요인 가운데 글로벌 통화긴축과 재화·서비스 선호충격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세계교역은 완만한 회복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글로벌 분절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최근 중동정세 불안, 중국 경제지표 부진 등을 감안할 때, 올해 교역신장률(3.5%, 23.10월 IMF전망)은 과거 장기평균(07~18년 3.8%)을 밑돌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제공올해 우리경제는 IT 경기의 반등에 힘입어 수출과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확대될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박세준 한은 조사통괄팀 차장은 "올해 우리나라 주요 수출 대상국의 수입 수요가 지난해보다 3.3% 증가하면서 수출 개선과 경제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글로벌 통화 긴축의 영향이 줄고, 미국 등 선진국의 첨단산업·친환경 투자 등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제공한은은 향후 중기 시계에서 세계 교역은 대체로 세계 성장률과 비슷하거나 다소 하회하는 흐름을 보이고, 장기적으로는 중국 성장세 약화와 글로벌 분절화 지속 등이 세계 교역에 구조적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기술혁신,친환경 전환 등에 따른 투자가 일단락된 이후 이들 요인이 글로벌 무역구조에 미칠 영향은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우리 경제 수출 경쟁력과 성장 경로는 분절화 위험, 기술혁신, 친환경 경제로의 이행 등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