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사당패 최초 여성 꼭두쇠 조명…'암덕: 류(流)의 기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통연희 '암덕: 류(流)의 기원'

서울 국립정동극장서 11월 22일부터 26일까지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예술단의 신작 '암덕: 류(流)의 기원'이 오는 22일부터 26일까지 서울 국립정동극장 무대에 오른다.

'암덕'은 여성 최초로 남사당패 꼭두쇠(우두머리)로 활약한 '바우덕이'의 본명 '김암덕'에서 딴 제목이다. 남사당패를 조선 대표 민간예인집단으로 이끌어 낸 그의 재기와 예술혼을 조명하는 동시에 가려져 있던 인고의 시간과 강인함을 담았다.

남사당놀이는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된 문화유산으로 민중의 삶 속에서 공감과 교감을 나누던 연희 예술의 본질을 담고 있다.

또한 풍물(농악)·버나(대접돌리기)·살판(땅재주)·어름(줄타기)·덧보기(탈놀이)·덜미(꼭두각시놀음)의 6가지 주요 종목을 통해 흥취를 돋우는 재주와 시름을 잊게 하는 다양한 볼거리로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암덕: 류(流)의 기원'은 춤, 연희, 음악, 현대미술 등 총체적인 예술 요소 안에서 바우덕이 설화를 풀어내 운명 앞에 굴하지 않고 삶의 지형을 개척해 왔던 민중의 생명력을 입체적으로 표현한다. 특히 삶의 지형을 역동적으로 그려왔던 원형의 인간과 연희의 본질적 정신을 자연과 물의 흐름에 비유해 색다른 무대를 꾸민다.

국립정동극장 대표이사 정성숙이 예술감독으로 참여하고 연극 '나무 위의 군대'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의 민새롬이 연출한다. 음악감독 이용탁(전라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단장)과 작곡가 서순정(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겸임교수)이 공동 작곡으로 나선다.

주인공 '암덕'은 극의 흐름에 따라 4명의 암덕으로 역할을 나누어 각각의 캐릭터를 더욱 전문적이고 생동감 있게 표현한다. 이유주가 어린 암덕, 서진실(국악 퓨전밴드 AUX 보컬)이 노래하는 암덕, 박지나(안성시립바우덕이풍물단 단원)가 줄 타는 암덕,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무용단원 조하늘이 춤추는 암덕으로 캐스팅됐다.

국립정동극장 정성숙 대표는 "전통 연희에는 민중의 애환과 한국적 감성이 들어 있으며, 대중문화의 원류로 미래의 전통이 담겨 있다"며 "이번 공연은 남사당놀이의 여섯 종목을 녹여 무대화한 고품격 전통 연희로 대중화, 현대화, 세계화를 꿈꾸며 기획했다"고 전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