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영유아·초등학생을 키우는 부모들은 육아를 부부가 함께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아내가 양육의 대부분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육아정책연구소의 '가정에서의 육아문화 진단 및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전국의 영유아·초등부모 1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자녀양육 전체를 100으로 볼 때 평일의 자녀양육 분담 정도는 아내 70.9%, 남편 29.1%로 나타났다.
주말에는 남편의 분담 비율이 높아져 아내 57.8%, 남편 42.2%로 조사됐지만 여전히 여성의 역할이 더 컸다.
아내들은 남편의 육아 분담 비율이 24.1%라고 응답했지만, 남편들이 스스로 평가한 비율은 34.0%로 훨씬 높아 10%포인트가량 차이가 났다.
남편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육아 분담 정도는 아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10% 가까이 높았다.
설문조사 응답자는 맞벌이가정이 52.3%, 맞벌이가 아닌 가정이 47.7%로 비슷한 비율이었다.
반면 부부간 역할 인식과 관련된 조사에서는 '아내와 남편은 집안의 모든 일에서 똑같은 결정권을 가져야 한다'는 문항에 5점 만점에 4.1점으로 동의 수준이 높았고, '가사일과 육아에는 남자가 할 일과 여자가 할 일이 따로 있다'는 문항에는 2.2점으로 낮은 동의를 보여 대체로 성평등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응답자들이 부부가 육아를 함께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현실에서는 아내가 더 많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양육 활동별 남편의 참여도(5점 만점)를 보면 등하원(3.0), 학습지원(3.3), 식사준비·빨래·청소 등 돌봄을 위한 가사활동(3.5) 등에 비해 자녀와의 놀이(4.0) 참여도가 가장 높았다.
긍정적인 육아문화를 만들기 어려운 이유를 묻는 문항에서는 '부부·가족간 양육에 대한 철학 및 양육태도가 달라서'(30.1%)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양육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이 적어서'(27.2%), '부부·가족간 양육이 힘듦에 대해 충분히 인정해주지 않아서'(15.6%), '부부·가족간 양육분담 및 책임에 대한 의견이 달라서' 15%, '육아휴직 사용에 대한 부담이 있어서'(12.1%) 등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과거에 비해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늘어나며 아버지의 역할이 확장됐다"며 "변화한 역할에 맞춰 아버지들에게 육아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가정내 육아문화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시간 확보가 관건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진다"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도입 비율이 높아진 시차출퇴근제, 자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