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제공지난 10년 간 경북의 청년 인구가 무려 16만 명 이상 감소하는 등 경북의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경북도는 생존전략 마련에 나섰지만 추상적이거나 기존 전략을 되풀이하는데 그쳐 지역 활성화에 대한 이철우 도지사의 의지와 능력에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경상북도의 인구는 대구시와 분리된 1981년 319만 명에 달했다. 수도권과 부산·경남 등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숫자다.
그러나 40년이 지난 2020년에는 264만 명으로 무려 55만 명이 감소했다. 경북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포항시(51만명)보다 많은 숫자가 다른 지역으로 빠져 나간 것이다.
특히 지난해에만 2만 6천명이 줄어드는 등 인구 유출 속도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청년층 감소폭이 크다는 점이다. 최근 10년간 줄어든 청년 인구는 16만 명으로 전체 연령층 중 비율이 가장 높은 편이다.
반면 고령 인구는 10년간 16만 명이 늘어 전체 인구의 22.4%를 차지하는 등 초고령사회에 이미 진입했다.
이 같은 경북의 현실을 반영하듯 지난달 행정안전부가 지정·고시한 전국 인구감소지역 89곳 가운데 경북은 무려 16곳이 지정돼 전남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경북도 제공그러나 지역 활성화를 외쳐온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민선 7기 성적은 매우 초라한 수준이다.
지난 3년 간 인구 감소세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지만 별다른 대응조차 못한 채 속절없이 인구 유출을 바라만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4일 경북도가 개최한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연구용역 완료보고회의 용역 결과도 실망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도는 이날 '활력 있는, 살기 좋은, 매력 있는 경북'을 목표로 6대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그러나 일정 기간 지역에 체류하는 생활(관계)인구를 위한 시범사업이나 제2의 고향 만들기 등 이미 다른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거나 계획 중인 사업을 되풀이하는데 그쳤다.
또 자연환경과 문화유산 등 지역자원 활용 특화,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인프라 기반 조성 등 추상적이고 뜬구름 잡는 식의 전략만 이어지며 실망감을 키웠다.
지역 활성화 및 인구 늘리기에 대한 이철우 경북지사의 의지와 능력에 의구심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용역기관과 함께 전국의 우수한 사례를 살펴보고 경북만의 새로운 인구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다"며 "지금은 조금 부족하지만 앞으로 더 보완해서 인구 감소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