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합뉴스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통화정책 정상화의 시작을 예고하면서 금리 인상 시기에 관심이 쏠린다.
국내 증권사들은 이번 FOMC 회의 결과를 토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미국의 첫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2022년 하반기' 또는 '2023년 상반기'로 전망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FOMC 회의 결과에 대한 리포트를 낸 증권사 20곳 중 첫 금리 인상 시기를 2022년 하반기로 전망한 증권사는 절반인 10곳이었다. 나머지 절반인 10곳은 2023년 상반기 또는 그 이후로 내다보는 등 시기에 대한 전망은 팽팽했다.
미래에셋증권[006800]과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 대신증권[003540] 등 10곳이 내년 연말께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 증권사는 이번 FOMC 회의에서 내년도 금리 인상을 전망한 연준 위원들이 증가했다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9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의 금리 인상 점도표는 6월보다 상향 조정됐다. 점도표란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로, 내년에 적어도 한 차례 금리 인상을 전망한 위원 수가 18명 중 9명이었다.
이는 지난 6월 7명보다 2명이 늘어난 것이다.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제롬 파월 의장이 전망하고 있는 것과 같이 내년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이 종료된 이후 금리 인상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내년 하반기 중 연준이 한 차례 금리 인상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와 달리 삼성증권[016360]과 KB증권, 메리츠증권[008560], 키움증권[039490] 등 8곳은 2023년 1분기를 비롯해 상반기에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 증권사는 내년 중반까지 테이퍼링이 진행되겠지만, 연준이 2022년 이내에 금리 인상을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금리 인상을 전망한 위원들이 늘어났어도 금리 동결 지지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의 발언들을 종합할 때 파월 의장 등 연준 핵심 지도부의 경우, 2022년 말까지 금리 동결을 지지하는 쪽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은 2023년 하반기 첫 인상을 전망했고, NH투자증권[005940]은 2024년 상반기에 가서야 인상이 될 것으로 관측했다.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테이퍼링이 끝난 뒤 실제 금리가 인상되기까지는 1년이 걸렸고, 테이퍼링 기간이 길어질 수도 있다는 점 등을 들었다.
연준은 2015년 12월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테이퍼링을 종료한 지 1년 만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이 지난달 첫 금리 인상을 단행한 가운데 증권사 20곳 중 13곳은 오는 11월 추가 인상이 있을 것으로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