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특정업에 종사한다는 이유로 생계를 막는 게 맞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돌잔치업계 종사자의 하소연
정부, 사회적거리두기 완화했지만 돌잔치만 예외
돌잔치업계 "협력업체 포함 2만명 이상 실직·파산 위기…살려달라"

돌잔칫상. 스마트이미지

 

"국민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에 감염되는 건 문제지만, 굶어 죽는 건 괜찮다고 생각하는 건지 정부에게 묻고 싶습니다. 특정 업종에 종사한다는 이유로 생계마저 불가능하게 만드는 게 맞는건가요?"

인천 연수구의 한 돌잔치업체에 근무하다가 지난해 9월 업체가 폐업하면서 직업을 잃은 김모(43)씨의 말이다. 11년간 돌잔치 전문업체에 근무하면서 총지배인 격인 본부장 자리까지 올랐던 김씨는 지금 배달원으로 일하고 있다.

지난 1년여간 김씨는 주변 사람들이 하나둘 떠나가는 걸 경험했다. 먼저 동료 직원 10여명 떠났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돌잔치 행사가 사실상 전면 금지되면서 일이 없게 되자 더이상 급여를 줄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일이 있을 때마다 급여를 주면 일하겠다고 나서는 직원이 있었지만 몇 달간 영업을 못하게 되면서 이들마저도 떠났다. 매달 3천만원의 유지비를 감당하지 못한 김씨의 사장은 결국 지난해 9월 폐업했다.

폐업 이후에는 일터와 거래하던 사진사, 한복 대여점, 식자재 납품점 등 협력업체 관계자들과도 멀어졌다. 가끔 연락이 오지만 이마저도 "밀린 대금은 언제 받을 수 있느냐"는 문의 전화다. 경영악화로 폐업한 사장에게 직접 묻기 미안하니 대신 물어봐 달라는 얘기다.

김씨의 사장은 영업이 불가한 상황에서 매달 3천만원가량 들어가는 유지비를 감당하지 못했다. 김씨의 사장은 폐업 이후 협력업체들의 빚 독촉에 사실상 은둔생활을 하고 있다. 사장과 통화했냐는 협력업체 관계자의 물음에 김씨는 "면목없지만 어떻게든 갚겠다고 합니다"며 흐느끼듯 대답했다.

김씨는 "경제생활에 뛰어든 이후 줄곧 이 일만 해 다른 직업을 찾을 자신이 없다"며 "지금의 상황이 이어진다면 코로나19 종식 이후 일을 다시 시작할 수 있을지도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정부, 사회적거리두기 완화했지만 돌잔치만 예외

지난 15일부터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면서 대부분 업종이 가게 문을 열 수 있게 됐지만 돌잔치업종은 제외하면서 관련 종사자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최근 결혼식·장례식의 행사 인원을 수도권은 100명, 비수도권은 500명 미만으로 조정됐다. 5명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는 유지되지만 직계가족은 거주지가 달라도 식당 등에서 5인 이상 모임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돌잔치는 사적모임으로 규정해 여전히 영업을 할 수 없다.

돌잔치업계는 식사 유형이나 가족 중심의 행사라는 점에서 돌잔치 역시 결혼식이나 장례식과 큰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유독 돌잔치만 사적모임으로 규정한 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돌잔치업계는 정부에게 다른 업종과의 형평성과 줄도산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생존 환경을 조성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재 전국에는 약 600개의 돌잔치 업소가 있다.

◇ 돌잔치업계 "협력업체 포함 2망명 이상 실직·파산 위기…살려달라"

업계는 돌잔치 금지 조치가 단순히 특정업종을 제한하는 게 아닌 사진·메이크업·이벤트·식자재 등 협력업체의 생존마저 어렵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협력업체 종사자까지 정부의 돌잔치 금지 조치로 2만여명이 실직·파산 위기에 처했다고 강조했다.

수개월째 영업이 멈추면서 줄도산 우려도 제기했다. 업계 집계에 따르면 지난 1월에만 전국에서 26개 돌잔치업체가 폐업했다.

돌잔치전문점총연합회 김창희 대표는 "돌잔치가 유흥업소나 카지노보다 위험하다고 판단한 정부의 기준을 묻고 싶다"며 "지금 돌잔치업계는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기조를 부정하는 게 아닌 관련 업계가 줄도산하지 않고 생존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