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별세포' 의한 치매 유발 기전 밝혀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NOCUTBIZ
뇌 속의 독성물질을 분해해 치매를 막는 인체 메카니즘이 오히려 치매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그동안 치매는 '아밀로이드베타' 등 독성물질이 뇌 속에 축적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아밀로이드베타를 제거한 뒤에도 중증 치매가 지속되거나, 반대로 아밀로이드베타가 증가해도 치매가 보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아밀로이드베타=치매 원인물질'이라는 가설이 제대로 들어맞지 않았다.

국내 연구진이 아밀로이드베타 보다는 이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반응성 별세포'가 치매를 일으키는 기전을 처음으로 밝혀내 이를 17일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뉴로사이언스'지에 게재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전희정 선임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류훈 단장 연구팀과 함께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반응성 별세포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과 치매병증 유도 기전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뇌 속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는 독성물질이 들어오면 이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모노아민 산화효소B 단백질'을 활성화해 독성물질을 분해한다. 이 과정에서 별세포는 크기가 커지고 기능도 변화하는 '반응성 별세포'로 바뀐다. 변화의 정도가 가벼운 '경증 반응성 별세포'는 주변 신경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정상으로 돌아온다.

문제는 변화 정도가 심한 '중증 반응성 별세포'. 이들은 주변 신경세포를 죽이면서 치매를 진행시킨다.

여기에 '모노아민 산화효소B 단백질'로 인해 과도하게 생성된 과산화수소도 뇌염증이나 타우 병증 등을 유도하며 신경세포를 사멸해 역시 치매 현상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반응성 별세포가 치매 초기에도 나타난다며 치매를 초기단계에 진단해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반응성 별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과산화수소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치매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과산화수소 또는 모노아민 산화효소B를 표적으로 하는 치매의 새로운 진단과 치료전략을 세우고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