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해외계열사 동원 자녀 회사 지원…창신그룹 385억 과징금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경영난 해외계열사에 부당한 수수료율 인상 지시
그룹 2대 주주 등극 발판, 그룹 경영권 승계도 시도

창신그룹(사진=창신그룹 홈페이지 캡처)

 

해외 계열사까지 동원해 회장 자녀회사에게 부당하게 이익을 제공한 나이키 신발 국내 OEM 제조사인 창신INC가 공정위의 제재를 받았다. .

공정거래위원회는 신발제조업체인 창신INC의 지시 아래 해외생산법인들이 창신그룹 회장 자녀가 최대주주로 있는 서흥을 부당지원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 및 과징금 총 385억 원을 부과하고 교사자인 창신INC를 고발하기로 결정했다고 13일 밝혔다. 과징금 부과액은 창신베트남 62억 원, 청도창신 46억 원, 창신인도네시아 28억 원, 서흥 94억 원, 창신INC 152억 원 등이다.

공정위는 자녀 회사에게 일감몰아주기를 한 혐의로 창신그룹에 과징금을 부과했다.(자료=공정위 제공)

 

창신INC는 나이키 신발을 OEM 방식으로 제조하는 사업자로서 국내 신발 제조업 부문 2위 사업자이다. 서흥은 그룹 회장 자녀들을 최대주주로 자본금 5천만원으로 설립한 뒤 2008년 1월부터 창신그룹의 자재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공정위의 조사결과 창신INC는 유동성 위기에 빠진 회장 자녀회사인 서흥을 지원하기로 기획하고 해외생산법인들에게 서흥에 대한 신발자재 구매대행 수수료율 인상을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해외생산법인들은 2013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구매대행 수수료율을 대폭 인상(약 7%p)해 서흥에게 총 4588만 달러(534억원)의 구매대행 수수료를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지급액은 정상가격 대비 2628만 달러(305억원) 많은 과도한 대가로 공정위는 파악했다. 이는 같은 기간 서흥 영업이익(687억원)의 44%에 달하는 수준이다.

특히 서흥이 수수료율을 인상할 만한 시장에서의 역할변화나 사정변경 등이 없었던 반면 해외생산법인들은 완전자본잠식, 영업이익 적자 등 경영악화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드러났다. 해외생산법인들은 그룹본사인 창신INC의 지시사항이었기 때문에 불만을 제기하지 못하고 수수료율 인상요구를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창신그룹 내 창신INC와 서흥 등의 지분구조 개요도(자료=공정위 제공)

 

이 같은 부당한 지원에 따라 서흥은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한 뒤 2015년 4월에 창신INC의 주식을 대량 매입해 2대 주주로 승격했다. 특히 2018년 9월엔 창신INC와의 합병을 검토한 바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실제로 두 기업간 합병이 이뤄진다면 일감몰아주기로 성장한 서흥의 자녀가 연 매출 1조원이 넘은 우량회사의 경영권을 승계하게 된다.

재벌그룹처럼 중견기업집단에서도 부당한 부의 이전이 가속화되는 셈이다.

공정위 정진욱 기업집단국장은 "지원행위에 동원된 해외계열사에 대해서도 과징금을 부과해 엄중 제재한 최초의 사례"라며 "이번 조치를 통해 통해 앞으로 기업집단들의 해외계열사 동원 부당지원행위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