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클럽 데자뷔' 노래방 집합금지…섣부른 생활방역 대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이태원 클럽발 추가 전파 최다 발생은 '노래방'
정부 "극단적 영업정지나 실효적 방역 조치 검토"
클럽 문제 시 클럽 중단, 노래방 문제 시 노래방 중단
"고위험 시설별 방역 지침 준비 부족했기 때문"
"제대로 대처 못하면 확산 규모 커질수도" 우려

(사진=연합뉴스)

 

인천광역시는 코인노래방 관련 확진자가 늘어나자 노래방에 집합금지명령을 내렸고, 정부도 전국 노래방과 관련된 추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이는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의 확산이 발생하자 클럽 등 유흥시설에 집합금지명령을 내렸던 상황의 '데자뷔'로 생활 속 거리두기 체제로 전환하기 전 준비가 미흡했던 대가를 치르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노래방은 위험"…인천 '집합금지' 정부도 추가 조치 검토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번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사태의 추가 전파가 가장 많이 일어난 곳은 노래방이다.

방대본 권준욱 부본부장은 "20일 0시 기준, 가정이나 택시를 제외하고 집단시설과 관련된 환자 51명을 분석한 결과, 노래방에서 가장 많은 12명의 환자가 발생했다"며 노래방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노래를 부르는 행위는 코로나19를 옮기는 침방울(비말)을 대거 배출하게 되며, 노래방은 환기가 잘 안 되고, 좁은 공간에 여럿이 밀착하게 돼 감염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생활 속 거리두기 체제로 전환되면서 노래방도 출입명부작성·발열체크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무증상 감염자는 가려내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또 방역관리자가 열심히 소독한다고 하더라도, 확진자가 다녀간 장소에는 바이러스가 남아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이재갑 감염내과 교수는 "병원에서도 환자가 지나간 곳을 소독하기 쉽지 않은데, 다중이용시설에서 제대로 소독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오히려 잘못 소독이 이뤄지면 다른 방의 손잡이 등도 오염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20일 오후 인천시 미추홀구청 운동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줄을 서고 있다. (사진=이한형 기자/자료사진)

 

특히, 무인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은 코인노래방은 소독·발열체크 등 방역수칙을 지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더 위험할 수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일반 노래연습장보다 코인노래방은 관리자 없이 운영되는 경우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방역수칙을 준수할 주체가 없다는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결국, 인천시는 미추홀구 탑코인노래방 관련 환자가 14명으로 늘어나는 등 연일 감염사례가 나타나자 다음 달 3일까지 코인노래방은 모든 시민, 노래방은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집합금지명령을 내렸다.

또 서울시에서도 관악·도봉·마포구의 코인노래방에서 코로나19 감염이 발생했고, 삼성서울병원의 확진된 간호사도 지인들과 서초구 노래방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나자 정부는 전국 노래방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윤태호 반장은 "극단적인 형태의 영업정지를 시키는 행정명령이 있을 수 있고, 실효성 있는 방역조치를 충분히 취하게 한 뒤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 양자의 선택지가 있다"며 "실효성 있는 조치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클럽 터지면 클럽 막고, 노래방 터지면 노래방 막는 방역당국

서울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집단감염에 따른 전국 확진자 수가 증가한 지난 13일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 메이드가 임시폐쇄되어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그런데 이러한 상황은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지자 각 지자체가 '클럽 등 유흥주점 집합금지명령'을 발동했던 상황과 유사하다.

당시에는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했던 장소가 클럽이기 때문에 클럽을 막았고, 이번에는 노래방이 문제가 되자 노래방을 서둘러 막은 것이다.

만약, 극장·영화관 등 또 다른 다중이용시설에서 집단감염이 벌어지면 '극장 집합금지명령'이 반복될 개연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은 생활 속 거리두기 전환을 앞두고, 정부가 다중이용시설별 위험도를 세분화하는 등의 준비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침방울 배출량·밀폐된 공간·밀집도 등 코로나19가 급속도로 전파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할 때 시설별 위험도는 확연히 차이가 나지만, 정부는 강제성이 없는 수칙을 제시하며 모든 다중이용시설의 운영 제한을 풀었다. 결국 등교가 이뤄지고 있음에도 특정 시설들을 중심으로 소규모 확산이 반복되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뒤늦게 다중이용시설별 밀집·밀폐도·방역수칙 준수 가능 여부 등을 따져 위험도를 나누는 작업에 착수한 상태로 이르면 5월 중에 관련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이재갑 교수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하기 이전에 고위험시설들의 위험도를 낮출 방법을 찾고 전환했어야 하는데 정부가 그러지 못했다"며 "지금은 거꾸로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해당 시설들의 운영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접근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뒤늦게라도 코로나19가 전파되기 쉬운 시설의 구조를 분석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개선이 어렵다면 해당 시설들의 방문을 막아야 한다"며 "등교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면 재차 확산규모가 커질 수 있다"고 제언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