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입국한 영국 런던발 여객기 탑승객들이 진단 검사 장소로 향하는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코로나19가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빠르게 확산되면서,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전날 발생한 신규 확진자 100명 중 절반이 넘는 51%가 '해외유입' 사례로 드러나는 등 해외 입국자들이 주요 감염경로로 떠오르면서 방역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 신규 확진자 100명 중 51명이 해외유입…미국·유럽이 '핵심 키(Key)'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에 따르면, 전날 추가된 신규 확진자 100명 중 해외유입 관련 사례는 51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34명은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고, 17명은 입국 후 지역사회에서 확진됐다.
국가별로는 유럽이 29명, 미주지역 18명(미국 13명), 중국 외 아시아 4명이었다. 지난 24일 유럽에서 입국한 2071명, 미주지역 입국자 2533명 중 확진된 사례다.
전날 새벽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9137명 대비 해외유입 사례(227명)의 비율은 2.5%로 그리 높지 않다. 하지만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등 유럽과 미국 내 확진자 수만 해도 수만명에 달하면서 해외유입 환자도 이에 비례해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지난 23일 28.2%(신규 확진자 64명 중 18명), 24일 32.9%(신규 확진자 76명 중 25명) 남짓이었던 해외유입 사례는, 25일 하루 만에 51%로 치솟았다.
국가별로는 유럽과 미주를 통한 유입이 두드러진다. 227명 중 유럽발은 58.5%(133명), 미주발은 21.5%(49명)을 차지한다. 최근 3일을 기준으로 봐도 마찬가지다. 총 94명의 해외유입 사례 중 유럽발이 59.5%(56명), 미주발이 36.1%(34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 예외없이 '전수검사'하는 유럽 vs 유증상자 '집중마크'하는 미국이처럼 해외유입이 코로나19 확산국면의 새 변수로 등장하자, 정부는 검역강화 조치를 내리는 등 각종 대책마련에 나섰다.
1차 타겟이 된 지역은 유럽이다. 정부는 지난 22일 0시부터 유럽발 입국자들 전원에 대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시작했다. 기침,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이들에 대해서도 검체를 채취해 확진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사실상 유럽발 입국자들 상당수가 현지에서 감염됐을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상정한 조치다.
정부가 이같은 '고강도 대처'에 나선 것은 유럽 입국자 전수검사를 발표한 당시(지난 20일), 유럽지역 누적 확진자 수(약 8만8천명)가 이미 코로나 발생지인 중국을 뛰어넘었기 때문이다. 입국자 전수조사를 시작한 첫날, 유럽 입국자 가운데 '유증상자'들의 양성률은 5%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입국한 영국 런던발 여객기 탑승객들을 안내하는 경찰이 보호경을 착용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정부는 뒤이어 미국에 대해서도 기존 특별입국절차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검역을 단행키로 했다. 이달 2주차까지는 미주발 유입환자가 없었지만, 3주차에는 미주발 환자가 18명, 4주차(25일 0시까지 반영)에는 31명으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부터 미국발 입국자들에 대해 2주간의 자가격리가 사실상 강제된다. 미국발 입국자 중 유증상자나 단기간 국내에 머무는 외국인 '무증상자'는 입국 시 바로 진단검사를 받게 된다. 별다른 증상이 없는 내국인과 장기체류 외국인은 격리기간 중 증상이 나타날 시 즉각 진단검사를 실시한다.
다만 정부는 현재 미국의 하루 평균 입국자가 2500명 내외로 1천명 정도인 유럽 입국자보다 2.5배 정도 많은 상황을 고려해, 향후 확진 추이를 보고 '전수검사' 확대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유럽과 미국 외 국가에 대해서는 현지 발생상황 등을 검토해 강제 자가격리를 시행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전망이다.
방대본 정은경 본부장은 "국내외 코로나19의 상황이 계속 변하고 있다"며 "이제 유럽을 거쳐, 미국, 아니면 동남아와 아프리카까지 확산되고 있는 세계 대유행의 상황이라, 이를 예의주시해 국내 유입에 대한 차단을 강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유럽과 미국 집중 조치는 '적절'…추가 대책도 고심해야전문가들은 입국자가 집중된 유럽과 미국에 대한 조치는 적절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추가 대책도 고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미 전세계가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에 접어든 데다 유럽과 미국 외 국가로 퍼질 가능성도 농후하기 때문이다.
가천대 길병원 엄중식 감염내과 교수는 "중국의 사례를 보면 5월은 넘어가야 상황이 정리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며 "그 영향을 받는 한국도 최소 7월은 되어야 해결이 될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아프리카나 인도, 동남아 등 데이터를 파악하기 힘든 개발도상국까지 코로나19 상황이 확산할 경우는 국가별로 검역절차를 달리하기보다 해외에서 입국하는 모든 사람에 대해 2주 자가격리를 하는 방식 등을 고민해볼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림대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도 "향후 몇 달 동안은 끝난다는 보장이 없어 종식이나 종결이라는 단어를 쓸 수가 없다"며 "미국은 이제 시작이고 최악의 경우 올해 말까지 상황이 이어질 수 있어 추이를 지켜보며 대책을 마련하는 게 최선"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