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총선 앞으로②] '유튜브 대전(大戰)', 선거 판도 뒤흔들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한국인 10명 중 4명 일주일에 한 번 유튜브 접해
여야, 총선 앞두고 부동층(산토끼) 쟁탈 '유튜브 전쟁'
전문가 "'유튜브 총선' 전략 중도층의 지지 얻지 못할 것"

바야흐로 '유튜브 시대'에 치르는 첫 국회의원 선거가 이제 80일 앞으로 다가왔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우파 유튜버'에 맞서 진보진영도 반격에 나서면서 유튜브는 총선의 격전지로 떠올랐다. 노컷뉴스는 25일부터 이틀에 걸쳐 정치권의 유튜브 활용 전략을 짚어보고 '유튜브 대전'의 결과를 전망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막 오른 총선 레이스…'유튜브 정치' 열릴까
② 총선 '유튜브 대전(大戰)', 선거 판도 뒤흔들까
(끝)


(일러스트=연합뉴스)

 

D-80. 총선이 다가오자 '유튜브 총선',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SNS를 넘어 유튜브가 대세', '여야 규제자유 유튜브 총선전략 마련 고심'등의 기사가 쏟아지고 있다.

'유튜브 시대'에 접어들어 처음으로 치르는 국회의원 선거는 여러 모로 관심을 모은다. 팟캐스트와 SNS를 거쳐 대세로 떠오른 유튜브가 워낙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뉴미디어 분야에서 압도적인 플랫폼으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언론진흥재단 '디지털뉴스 리포트 2019'에 따르면 한국인 10명 중 4명이 일주일에 한번 이상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있다. '2019 언론수용자 조사'를 보면 유튜브를 언론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전체의 28.6%에 달했다.

전편인 "유튜브로 달려가는 여의도 정가…'유튜브 총선'의 승자는 누구" 기사에서 살펴봤듯, 진보·보수 각 진영과 정치권은 총선의 격전지로 떠오른 유튜브에서 대전을 예고하고 있다.

그렇다면 유튜브는 이들의 바람대로 총선에서 표심을 얻고, 당락을 가르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선거는 기존 지지층(집토끼)을 결집하고 부동층(산토끼)의 표를 더해야만 상대 후보를 누를 수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7일 발표한 1월 14~16일 정례조사를 보면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무당층은 27%에 달한다. 만일 내일이 국회의원 선거일이라면 어느 정당에 비례대표 1표를 행사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도 20%가 부동층으로 남았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 여론조사심의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조국 전 장관의 인사청문회가 열리며 '조국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해 9월 1주차 무당층은 21%였다. 인사청문회와 국정감사를 거쳐 조 전 장관의 사퇴, 검찰 기소 등으로 4개월 넘게 여론의 관심이 집중됐지만 무당층 비율은 오히려 6%p 늘어났다.

같은 기간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소소한 등락을 거듭하며 40%(9월 1주차)와 39%(1월 3주차)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자유한국당의 지지도 역시 23%와 22%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여야가 '조국 사태'와 예산안 및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로 극한 대결을 벌이는 사이 온라인 최대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에서는 관련 동영상이 넘쳐났고, 적게는 수만에서 많게는 수백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일례로 CBS 스마트뉴스팀의 노컷브이 유튜브 채널에서는 지난해 9월 6일과 7일 이틀 동안 열린 조 전 장관 인사청문회 관련 동영상을 20건 제작했다. 전체 조회수 합계는 377만여건으로, 동영상 1편당 평균 조회수는 무려 18만8700여건에 이른다.

20대 국회는 역대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뒤집어 쓸 정도로 파행을 거듭하며 갈등을 빚었다. 유튜브에서는 진보 보수가 각 진영의 논리를 확대 재생산하는 영상을 마구 쏟아냈고, 노컷브이 같은 기성 언론에서도 거의 실시간으로 이를 보도했다.

그럼에도 21대 총선을 앞두고 접전지역에서 당락을 좌우할 '스윙보터'가 줄어들기는커녕 도리어 무당층이 늘어난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유튜브의 정치지형이 좌우로 극단적으로 갈린다는 건 결국 이들 무당층에 정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뜻에 가깝다. 극렬한 진영 대립은 지지층을 결집하는 반면, 정치 냉소나 혐오를 불러일으키기 마련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지지의 전환효과'라는 말로 설명했다. 송경재 경희대 공공거버넌스 연구소 교수는 "지지성향이 분명한 집단이 서로 결집하는 '강화효과'는 분명하지만 중도층으로부터 지지를 얻는 '전환효과'는 아직 미미하다"고 말했다.

유튜브는 과거 시청기록 등을 토대로 이용자가 선호할 법한 동영상을 주로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측의 지지자들이 서로 입맛에 맞는 동영상을 각자 소비하며 확증 편향만 강화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셈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정치평론가는 CBS노컷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각자의 정치적 이념에 맞는 영상(소식)만을 선택적으로 접하는 이들이 점점 늘어날 것이고, 극단적으로 갈리게 될 것이다. 결국 극단으로 갈라진 상태에서 유튜브 전략은 그 어느층도 흡수하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지역구 253곳에서 일제히 치러지는 총선의 특성상 유튜브가 개별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통령이나 광역단체장 선거에 비해 적을 수밖에 없다.

다만 수십 내지 수백표로도 승패가 갈리는 서울이나 수도권의 격전지에서는 유튜브가 의외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선거 판세에 영향을 끼치는 수많은 변인 가운데 하나로써 기능하는 것이다.

송경재 경희대 공공거버넌스 연구소 교수는 "공론장이 유튜브로 쏠리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근소표 선거구가 많아 이들 선거구에서는 유튜브 요인이 선거결과에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 복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