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CBS라디오 <김덕기의 아침뉴스>
■ 채널 : 표준 FM 98.1 (07:00~07:30)
■ 진행 : 김덕기 앵커
■ 코너 : 김수영 기자의 <왓츠뉴(What's New)>
사진=이충현 기자
◇ 김덕기 > 새로운 IT 트렌드를 읽는 '김수영의 왓츠뉴' 시간입니다. 산업부 김수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오세요. (안녕하세요) 김 기자, 오늘은 어떤 이야기를 갖고 오셨나요.
◆ 김수영 > 운전자가 핸들이나 엑셀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차, 공상과영화에서 한 번쯤 본 적 있으실텐데요.
지난주에 자율주행차 실증시연회가 있어서 제가 직접 자율주행차를 타 봤는데 자율주행차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자율주행차 기술이 어느 정도 수준에 와 있고, 일반 소비자들은 언제쯤 자율주행차를 타볼 수 있는건지 알아봤습니다.
(사진=LG유플러스 제공)
◇ 김덕기 > 사람이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 차라니 어떨지 궁금하네요.
◆ 김수영 > LG유플러스가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차량·사물간 통신(5G-V2X)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차의 일반도로 시연을 진행했는데요. 하나씩 설명을 드려볼께요.
먼저 자율주행 원격제어앱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앱에서 '호출' 버튼을 누르니 차가 스스로 이동해 제가 있는 장소까지 오고, 차에 타서 '목적지로 이동 요청' 버튼을 누르니 차가 스스로 출발하더라고요.
"(기자에게 원격제어앱 보여주며) 앱에 (자율주행차가 우리가 서 있는)위치에 도착했다고 나오고요"(LG유플러스 관계자 A씨)차량은 앞차의 움직임을 감지해 스스로 속도를 조절하고 보행자를 감지해 차를 세우기도 했습니다.
"전방차량이 정지하였습니다. 앞차량의 영상을 확인해주세요"(차량 안내음성)
"5G와 MEC로 빠르게 앞 차량의 급브레이크 정보를 받아서 부드럽게 브레이크 밟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있고, 앞 차량 전방에 있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전달돼) '아~ 그 앞에 있는 스쿨버스 때문에 (전방 차량이) 섰구나'라고 알 수 있습니다"(LGU+ 관계자 A씨)
"앞에 보행자가 지나가니깐 멈췄다가. 횡단보도 내에서는 보행자를 다 확인하거든요"(LG유플러스 관계자 B씨)뒤에서 접근하는 응급차를 감지해 스스로 길을 비키는가 하면 다이나믹맵(Dynamic Map)으로 보이지 않는 지역에서 발생한 사고상황을 파악해 속도를 줄이기도 하더라고요.
"후방에서 긴급차량이 접근중입니다 속도를 줄여 양보해주세요"(차량)
"C-ITS가 협력주행할 수 있게 긴급차량이 나오면 앞에 차량도 정보를 주고 협력해서 빨리 지나갈 수 있게"(LGU+ 관계자 A씨)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사고발생 차선을 피해 주행해주세요"(차량)
"쉽게 사고차를 회피를 했습니다"(LGU+ 관계자 A씨)◇ 김덕기 > 운전자가 주차장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차가 주차장에서 나와서 운전자가 있는 장소로 오고 전방 차량이나 보행자를 보고 속도를 조절한다는 거죠? (그렇죠) 이 정도면 자율주행기술이 상당부분 완성됐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 김수영 >맞습니다. 다만 기술이 완성돼 일반 소비자가 자율주행차를 타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적으로 아무리 고도화됐다고 해고 자율주행기술은 인명과 직결된 기술이기 때문에 기술이 완성됐다고 해도 상용화까지는 상당한 저항이 있을 수밖에 없거든요.
◇ 김덕기 > 그럼 일반 소비자들은 언제부터 자율주행차를 일반 소비자들이 탈 수 있는 건가요?
◆ 김수영 > 전문가들은 2030년은 돼야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그제 정부는 2027년 전국 주요 도로에서 완전자율주행차(레벨4)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겠다고 천명하긴 했습니다. 앞으로 5년 동안 완전자율주행을 위해 필요한 성능 검증과 보험 등 제도를 도입하고 통신시설과 정밀지도, 교통관제 등 인프라를 완비해서 미래차 글로벌 선도국가가 되겠단 거죠.
하지만 업계에서는 정부가 당장 제도 개선에 나서지 않으면 그제 발표는 '장미빛 전망'에 불과할 것으로 보고 있어요.
관련 기술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자율주행 기술은 실증을 통한 데이터를 축적해 학습하는 것이 중요한데 당장 규제가 풀리지 않으면 기술 고도화에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는데 제도를 2024년까지 정비하고 어떻게 2027년에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차를 상용화 할 수 있겠냐"고 반문하면서
"정부가 말하는 '상용화'의 기준이 뭔지 궁금하다"고 하더라고요.
일찌감치 관련 규제를 풀어준 미국에서는 수천대의 자율주행차량이 시범주행을 하고 있고요. 자율주행기술 글로벌 선두인 구글의 자율주행차 개발전담팀 웨이모는 올해 4월 자율주행차 생산 공장을 설립하고 여기서 차량을 완전자율주행차량(레벨4)으로 개조해 시범 운행한다고 했는데 차량 수 만 대로 시범운행을 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술을 고도화하는 작업에 들어갔거든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정부 인증을 받아 시범운행중인 자율주행차가 몇 대쯤 될 것 같으세요?
◇ 김덕기 > 천 대쯤 되나요?
◆ 김수영 > 어제 확인해 보니 80대더라고요.
◇ 김덕기 > 미국에서는 수천대의 자율주행차가 도로에서 시범주행중인데 우리나라는 100도 안 되는 거군요.
◆ 김수영 > 그렇죠. 이 문제에 대해 정부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기술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수집을 꼭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을 통해서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며
"2027년 세계 최초 자율주행차 상용화가 현실성 없는 목표 아니"라고 설명하더라고요.
그래서 '단 1대가 도로를 굴러다녀도 상용화인데 어느정도 규모를 상용화로 보느냐'고 물어보니
"상용화는 기업이 결정하는 부분"이라고 하더라고요. 이와 관련해 현대차에 문의해보니
"2024년 레벨4(완전자율주행) 상용화 목표는 현재시점에서는 '선언적인 목표'"라며
"구체적인 계획은 미정"이라는 답을 들었습니다.
정부가 미래먹거리인 자율주행기술에 예산 등 자원을 집중하겠다는 것은 환영할만하지만, 선언이 구호로만 그치지 않도록 업계의 의견을 기민하게 반영하는 정책집행이 필요해보입니다.
◇ 김덕기 >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