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 경기장. 올림픽 이후 다른 전문체육시설과 함께 사후관리 비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사진=강원도 제공)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이자 흥행 성과를 이뤄낸 2018평창동계올림픽. 반면 사후 현안들은 대회 폐막과 함께 세간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다.
주요 현안은 경기장 사후관리 대책과 평창 알펜시아 손실보상 문제로 개최지 강원도와 알펜시아 운영주체 강원도개발공사의 재정 건전성과 직결된다.
6.13지방선거가 임박하면서 정치권에서 평창올림픽 사후 현안은 지엽적인 사안으로 밀려나는 분위기다. 정부의 동력도 남북, 북미 정상회담에 집중될 수 밖에 없어 현 정부의 정치적 결단이 시급한 경기장 사후관리 대책 모색은 장기 과제로 방치될 가능성이 크다.
강원도는 스피드스케이팅, 하키센터,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경기장 등 전문체육시설의 연간 적자 예상분 58억원 중 관리주체 부담액을 뺀 45억원 가운데 34억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는 협상을 진행 중이다. 11억원은 경기장 건설 분담비율 25%에 준해 강원도가 부담하겠다는 절충안을 포함했다.
협상 상대인 기획재정부는 평창올림픽 경기장 적자 보전이 다른 자치단체와 국제행사에 선례가 될 수 있다며 부정적인 기류가 여전하다. 다만 적자 보전 대신 실제 사용료를 지원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거론하고 있다.
올림픽 주무대였던 평창 알펜시아의 손실보상액 절충도 난항을 겪고 있다. 강원도개발공사는 회계법인을 통해 손실보상액을 111억원으로 재평가 받았지만 조직위는 25억원을 보상액으로 산정해 대응하고 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절충점으로 75억원을 제시하며 강원도, 조직위, 강원도개발공사 3자 분담 방식을 중재안으로 거론하고 있지만 강원도개발공사는 알펜시아의 손실이 크다며 수용이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5월 3일 2차 민사조정에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할 경우 소송이 불가피하다. 여기에 최 지사가 다음 달 3선 도전 행보를 본격화하면 그나마 이뤄졌던 강원도의 중재 노력마저 지방선거 국면에 희석될 가능성이 크다.
강원도개발공사 이용배 노조위원장은 "일단 2차 조정까지 인내를 갖고 기다리겠지만 납득할만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지역사회와 함께 대응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알펜시아 윤성원 노조위원장도 "강원도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3자 입장이 아닌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며 "조직위가 조정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단체행동도 불사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