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김천, 원불교 대책위와 사드저지전국행동 활동가들이 서울 대치동 롯데상사 앞에서 열린 사드 반대 성주-김천 주민 상경 기자회견에서 롯데의 사드 부지 제공을 규탄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로 롯데가 큰 후폭풍에 시달리면서 경제를 무시한 부지 선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애초에 성주군 성산포대에서 롯데스카이힐 골프장으로 바뀐 건 성주군에서 '제3후보지에 대한 검토'를 요청한데 따른 것이지만, 경제적 파급 효과를 너무 등한시 한게 아니냐는 것이다.
롯데는 올해 연말까지 중국내 롯데마트 운영 자금을 쏟아붓기로 했지만 결국 포기하고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지난 3월 3천600억원 규모 자금을 긴급 수혈한 데 이어 최근 3천400억원을 추가로 수혈하기로 했다.
중국의 소방법 위반 등을 이유로 매장에 대해 영업정지 조치를 내렸지만, 이면에는 사드 부지를 제공한 게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되고 있다.
이런 상황은 경제 살리기를 강조해온 박근혜 정권의 기조와도 정면으로 상충하는 모양새다.
박근혜 대통령은 2014년 10월 국회에서 열린 '2015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지금이야말로 우리 경제가 도약하느냐, 정체하느냐의 갈림길에서 경제를 다시 세울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지금이 바로 국회와 정부, 국민과 기업 등 우리 모두가 하나가 되어 경제살리기에 총력을 다해야 할 때"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전 정권에서 서비스산업발전법 등 당시 야당이 "재벌을 위한 특혜"라고 반대한 법안들을 경제살리기 관련 법안이라며 줄곧 추진했다.
하지만 사드 문제에 기업이 발을 담그게 하면서 경제적 손실이 걷잡을 수없이 커져 버렸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14일 "왜 애꿎은 기업을 끌어들여 사업을 어렵게 하느냐"며 "군사적으로 해결할 문제이면 군 부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게 맞지 않느냐"고 말했다.
롯데가 '울며 겨자 먹기'로 부지를 제공하지 않았다면 지금처럼 치명적인 보복을 당하지는 않았을 것이란 얘기다. 사실 중국의 경제보복은 사드 배치를 공론할 때부터 일찌감치 예견된 일이기도 하다.
성급하게 사드를 배치를 결정하면서 경제적 후폭풍에 대한 대안도 전혀 없었다는 것도 업계의 불만이다.
다른 관계자는 "사드 배치가 경제 문제와 직결되리라는 것은 볼보듯 뻔한 형편에서 기업들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었던 것 같다"면서 "너무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은 수출 효자인 자동차, 화장품 등 전 업종을 망라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