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 전후로 모바일 간편송금서비스가 확대되고 보안프로그램 설치가 최소화되는 등 금융소비자들의 이용 편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카오뱅크 열풍으로 촉발된 금융사들의 '편의성 강화' 경쟁도 한층 치열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4일 금융감독원이 은행·카드·보험·증권권역 95개사를 상대로 지난해 10월 말과 올 8월말 현황을 비교한 결과, 간편송금서비스는 14개(10개사)에서 21개(15개사)로 확대됐다.
일례로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11월 '텍스트뱅킹'을 도입했다. 사전에 등록한 계좌로 공인인증서 없이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1일 300만원 이내로 송금이 가능한 서비스다.
부산은행이 같은 달 시작한 '썸뱅크' 역시 상대 계좌번호를 몰라도 카카오톡이나 문자메시지로 1일 100만원 이내 송금이 가능하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5월 출범과 동시에 계좌번호 입력이나 공인인증서 없이 카카오톡 친구에게 송금액과 간편비밀번호 입력 만으로 1일 100만원까지 송금을 가능하도록 했다.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 7월 공인인증서 없이 QR코드 등을 이용해 온오프라인에서 상품구매대금을 실시간 계좌이체할 수 있는 '리브 뱅크페이'와 간편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송금할 수 있는 '리브 간편송금 서비스'를 시작했다. 모두 1일 50만원 이내 한도다.
생체인증도 6건(지문인증 4건, 기타인증 2건)에서 52건(지문인증 34건, 홍채인증 18건)으로 46건이 대폭 늘었다. 이는 은행권(4→24건)에서 대폭 확대됐고 증권(0→16건)과 보험(0→6건) 권역도 도입을 시작했다.
금감원은 올해 안으로 13건의 생체인증 방식을 추가 도입할 예정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금융소비자의 인증방식에 대한 선택권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은행과 금융투자권역의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공동 사설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을 세운 상태다. 국민은행의 경우 이달부터 목소리 인증을 통한 본인확인과 송금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한편 불필요한 보안프로그램 설치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편도 대폭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홈페이지 전체 메뉴 가운데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메뉴의 비율은 55.6%에서 8.3%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이 가운데 은행권의 비율(59.7%)이 가장 많이(15.5%p↓) 개선됐고, 보험(43.2%), 증권(40.2%) 순이었다. 현재 전체 메뉴 보안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한 금융사는 4개사지만 올해 안으로 모두 개선될 전망이다.
8월말 현재 이용자가 설치를 선택할 수 있는 보안프로그램은 6개(3개 은행)에서 14개(6개 은행)으로 8개 증가했다. 향후 KEB하나, 대구, 전북, 광주, 농협 등 5개 은행이 14개 보안프로그램에 대한 설치 선택권을 추가 부여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176개 금융회사의 전자금융거래 관련 약관 480개를 모두 점검했으며, 소비자들에게 불합리한 항목이 포함된 약관에 대해 변경권고를 지도하는 한편 지난 6월 모두 개선해 시행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자금융거래시 금융소비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추진협의체를 권역별로 재구성해 운영하면서 우수사례를 발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다양한 보안기술 도입이 이용자 편의성 제고와 금융회사의 자율보안체계 확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