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 유인원 지능에서 유치원생 정도로 높아졌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서울대 로보틱스 연구실, LG 로봇청소기 시험 결과

(사진=LG전자 제공)

 

주인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 그렇다면 인공지능이 채택된 로봇청소기의 지능은 얼마나 될까?

LG전자는 서울대가 시중에서 팔리는 로봇청소기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자사의 청소기가 유치원생 수준인 6-7세 아이 정도의 지능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최근 서울대학교 '로보틱스 앤 인텔리전트 시스템 연구실(Robotics & Intelligent Systems Lab.)'이 LG전자의 인공지능 로봇청소기 '로보킹 터보플러스'가 이렇게 나왔다는 것.

LG전자에 따르면 서울대학교는 시중에 판매 중인 로봇청소기 4종을 대상으로 각 제품의 종합적인 지능 수준을 측정했다.

인지(Perception)와 판단(Decision), 행동(Activity) 등 3개 분야에 걸쳐 100개 이상의 항목을 시험해 어린이(Child), 유인원(Ape), 돌고래(Dolphin) 등으로 지능 단계를 평가했다.

시험결과 서울대학교는 LG전자의 '로보킹 터보플러스'가 6~7세 어린이의 지능 단계를 갖췄고, 시험 제품 중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했다고 LG는 전했다.

특히 LG '로보킹 터보플러스'는 올해 초 LG전자가 독자 개발한 딥러닝 기술 '딥씽큐(DeepThinQTM)'를 탑재하며, 인공지능의 핵심 요소인 인지 및 판단 지능이 대폭 높아졌다고 LG는 설명했다.

딥씽큐를 탑재하기 전의 LG 로봇청소기는 2015년에 있었던 유사한 시험에서 '유인원' 수준의 지능이라고 평가 받은 바 있다.

반면 '딥씽큐'를 탑재한 '로보킹 터보플러스'는 피해야 할 장애물과 넘어가야 할 장애물을 스스로 구별할 수 있다는게 LG전자의 설명이다.

이전의 로봇청소기는 청소중 사람의 발을 만날 경우 이를 넘으려고 했던 반면, 지금은 사람의 발 앞에서 3초 가량 대기하면서 사람이 움직여 다른 곳으로 가면 청소를 하고 발이 움직이지 않으면 우회한다는 것이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