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한형 기자/자료사진)
삼성그룹의 미래전략실은 그야말로 '영욕'을 누려온 조직이다.
삼성그룹의 핵심 지휘부로 계열사간 사업과 인력배치 등을 조정하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고 비자금 사건이나 국정농단사건 등 사회의 이목을 끄는 굵직굵직한 사건마다 이름이 올라가 비난을 한몸에 받기도 했다.
28일 해체가 선언된 삼성 '미래전략실'은 지난 1959년 창업주인 고 이병철 회장 비서실에서 출발했다.
지난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에는 구조본(그룹 구조조정본부)으로 이름을 바꿨고 2006년 전략기획실로 문패를 갈아 달았다.
2008년 조준웅 특검의 수사 이후 전략기획실이 해체됐지만, 이태 뒤인 2010년 현재의 미래전략실로 이름이 바뀌면서 부활해 60년 가까이 삼성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왔다.
현재 미래전략실은 실장과 차장, 전략팀과 기획팀, 인사지원팀, 법무팀, 커뮤니케이션팀, 경영진단팀, 금융일류화지원팀 등 7개 팀으로 구성돼 있으며 각 계열사에서 파견된 약 200명의 임원과 고참급 직원들이 일하고 있다.
(사진=자료사진)
직원수는 200명의 크지 않은 조직이지만 부회장 1명에 차장을 포함해 각 팀장에는 사장 4명, 부사장이 4명인 머리가 무거운 조직이었다.
그룹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지만 실체가 없어 책임은 지지 않는다는 지적을 야권과 시민사회 단체로부터 받아온 것도 사실이다.
이런 미전실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최순실 일가에 대한 지원에 깊숙히 관여해 온 것으로 특검수사에서 드러나면서 결국 다시 해체의 길을 걷게 됐다.
지난 2008년 조준웅 특검 이후 당시에도 전략기획실이 해체되기는 했지만 브랜드 관리팀을 비롯해 일부 기능이 남았지만 이번에는 완전히 공중분해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미래전략실 실장과 차장, 각 팀장은 소속사로 돌아가는 것도 없이 완전히 사임했다.대관업무조직도 모두 해체했고 미래전략실이 주관해 열리던 수요 사장단 회의도 해체됐다.
지난 2008년 당시 전략기획실 해체 당시에 비해 훨씬 강력한 수준의 해체작업에 들어간 것이다.
지난 59년 고 이병철 회장의 비서실에서 시작된 삼성의 컨트롤타워가 완전히 역사속으로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