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서 민 (단국대 의과대학 기생충학과)
덜 익은 돼지고기, 먹어도 될까요? 외국에서는 마치 소고기처럼 핏기가 도는 미디엄 레어 상태로 돼지고기를 요리해 먹기도 한다는데요.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소고기는 살짝만 익혀도 되지만 돼지고기는 무조건 바짝 익혀 먹어야 한다' 이런 인식이 보편적이죠. 심지어는 '돼지고기를 구울 때 쓰는 젓가락을 식사할 때 같이 쓰면 안 된다'라는 속설까지 있는데요. 돼지고기에 숨어있을 수 있는 기생충 때문에 이런 얘기가 나오고 있죠.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는 단국대 의과대학 기생충학과의 서민 교수를 연결해서 이 논란 짚어보겠습니다. 서민 교수님 안녕하세요?
◆ 서민> 안녕하십니까? 서민입니다.
◇ 박재홍> 교수님도 돼지고기 좋아하시죠?
◆ 서민> 몸에 한 3분의 1 정도는 돼지고기로 되어 있을 것 같아요. 많이 먹어서...
◇ 박재홍> (웃음) 그 정도로 많이 드셨다는 얘기인데요. 정말 돼지고기는 기생충 때문에 바짝, 거의 타듯이 익혀 먹어야 하는 게 맞는 건가요?
◆ 서민> 아닙니다. 원래 고기는 적당히 익혀야 맛있잖아요. 과거에는 기생충 때문에 바짝 익혀 먹으라고 했는데 지금은 안 그래도 괜찮습니다.
◇ 박재홍> 과거에 논란이 됐던 기생충은 뭐였나요?
◆ 서민> 그게 갈고리촌충이라는 기생충이었는데요. 과거 제주도에서, 뱀을 쫒으려고 집집마다 돼지를 길렀는데 먹일 게 없다 보니까 돼지한테 사람의 변을 먹였어요. 그 과정에서 사람 변에 있던 갈고리촌충이 돼지한테 들어가서 돼지고기를 덜 익혀 먹으면 갈고리촌충이 사람한테 다시 들어가서 병을 일으키게 됐습니다. 그래서 그 갈고리촌충이 일부 뇌로 가서 간질을 비롯해서 여러 가지 뇌 증상을 일으키거든요. 그래서 돼지고기를 날로 먹으면 안 된다는 신화가 생겼습니다.
◇ 박재홍> 그러면 그런 신화가 우리나라에만 있었던 건가요?
◆ 서민> 아니요. 우리나라 말고도 지금도 돼지에게 변을 먹이는 여러 나라에서는 그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박재홍> 그렇군요. 그러면 갈고리촌충이 요즘에도 사람 몸에서 발견되는 기생충인가요?
◆ 서민> 1980년대부터 뇌 기생충이 문제가 되니까 제주도에서 돼지한테 사료를 먹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1990년 이후로는 우리나라에서 갈고리촌충의 유충이 들어가 있는 돼지가 한번도 발견된 적이 없어요.
◇ 박재홍> 그렇군요.
◆ 서민> 멸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 박재홍> 이 갈고리촌충말고는 문제가 되는 다른 기생충은 없는거죠?
◆ 서민> 우리나라 돼지는 워낙 잘 키우기 때문에 다른 문제는 없습니다.
◇ 박재홍> 그렇군요. 그러니까 이 돼지고기 기생충 얘기는 인분을 먹이던 시절 얘기고, 지금은 사육 시스템이 깨끗해졌기 때문에 그런 위험한 기생충들이 전혀 없다는 말씀이네요.
◆ 서민> 그렇습니다. 지금은 그냥 적당히 익혀서 드시면 됩니다, 자연스럽게.
◇ 박재홍> 그러면 지금은 인분을 먹이는 돼지가 실제로 정말 없습니까? 그 부분이 확인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 서민> 그렇습니다. 전혀 없습니다. 사람에서도 거의 환자가 나오지 않고 있고요. 간혹 나오는 환자들은.. 제가 보기에는 다른 나라에 가서 걸려서 들어오는 경우지, 우리나라에서 걸린 사람은 없을 것 같습니다.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 박재홍> 그렇군요. 그러면 돼지고기도 소고기처럼 미디엄, 레어 이런 식으로 익혀도 된다는 말씀이네요?
◆ 서민> 그런데 소고기와 달리 돼지고기는 레어는 그렇게 맛이 없더라고요. (웃음) 저도 몇 번 시도해 봤는데, 입에 안 맞았어요.
◇ 박재홍> (웃음) 그러니까 위생상의 문제라기 보다는 맛 때문에 그렇다?
◆ 서민> 네. 그리고 익지도 않은 고기를 먼저 막 먹다 보면 또 친구 간에 의도 상할 수 있고요. 그래서 꼭 익은 다음에 드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박재홍> 친구간의 의도 상할 수 있기 때문에 다 익혀서 먹어란 말씀이신데요. (웃음) 소고기는 어떻습니까? 소고기는 살짝 익혀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소고기야말로 정말로 괜찮은 건가요?
◆ 서민> 그럼요. 소를 통해서 감염되는 기생충이 있기는 한데요. 역시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멸종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고요. 그리고 혹시 있다고 해도 이거는 뇌로 절대 가지 않고 그냥 약 하나로 바로 없어지는 착한 기생충이거든요. 그것 때문에 맛있는 육회를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 박재홍> (웃음) 그렇군요. 그래도 소 중에 조심해야 할 부위가 있다고 하는데, 그게 어떤 부위입니까?
◆ 서민> 소고기가 아니라 그건 소간입니다. 소간을 먹으면 개회충이라는 것에 걸릴 수도 있거든요. 사람 해충은 사람에게 별 증상이 없는데 개회충은 사람 해충과 달리, 간이나 뇌로 전파되고 심지어 망막박리까지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요. 소간은 날로 먹는 건 피하시면 좋겠습니다.
◇ 박재홍> 그렇군요. 소간의 경우는 날로 먹을 때는 조심해야 한다, 잘 익혀서 드시는게 좋단 말씀이시네요.
◆ 서민> 그렇습니다.
◇ 박재홍> 그런데 혹시 도마나 칼의 위생상태, 요리나 유통 과정상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
◆ 서민> 글쎄요, 저는 유통상의 문제 때문에는 최소한 기생충 질환에 있어서는 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될 것 같고요.
◇ 박재홍> 알겠습니다.
◆ 서민> 적당히 드셔도 될 것 같습니다.
◇ 박재홍> 그리고 이제 곧 가을 꽃게철이죠. 지난주에 꽃게 아가미에 붙어 있는 작은 동글동글한 알 사진이 논란이 있었는데, 이게 '기생충이 맞다, 아니다, 먹어도 된다, 안 된다.'라면서 화제였어요. 교수님도 사진 보셨나요?
◆ 서민> 저도 사진 봤는데요. 그거는 '게속살이'라고 그냥 꽃게 아가미 주변에 붙어사는 건데요. 일종의 기생충의 일종은 맞습니다마는 이게 꽃게의 기생충이기 때문에 사람에게 들어가도 전혀 감염되는 일이 없고요. 오히려 그게 사람에게 들어오면 좋은 단백질의 공급원이 되기 때문에 사람에게 손해는 아닌 것 같습니다.
◇ 박재홍> (웃음) 먹어도 되는 거네요, 그러면?
◆ 서민> 그럼요. 바다에 사는 생물체들은 다들 기생충을 주렁주렁 갖고 있거든요. 하지만 대부분이 사람에게 전파되는 게 없기 때문에 일일이 ‘기생충 아니야?’ 이렇게 의심하면서 먹으면 맛이 떨어지고 영양분도 안 되기 때문에 대범하게 드시는 게 좋습니다.
◇ 박재홍> 그렇군요. 그리고 또 하나 최근 미국에서 치사율이 98%에 이른다 해서 ‘뇌 먹는 아메바’로 인한 사망환자가 발생해서 충격을 주고 있는데요. 역시 기생충의 일종인가요?
◆ 서민> 예. 기생충이기는 한데 보통 기생충하고는 달라요. 기생충은 사람에서만 산다고 이런 게 있잖아요? 그런데 얘네들은 호수 같은 데서 자기네끼리도 잘 살아요. 그런데 사람이 거기에 들어와서 수영한다고 시끄럽게 하면, 혼내준다는 마음으로 사람에게 들어가거든요. 그런데 문제가 아주 치명적이라는 게 문제입니다. 그래서 뇌에 아주 심한 뇌수막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치료하지 않으면 대부분 사망하고요. 지금까지 200명 환자가 나왔는데, 그 중 3명 정도만 살아 있고 다 죽었습니다.
◇ 박재홍> 그래요? 굉장히 심각한데요. 우리나라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 서민> 호수나 깊은 웅덩이에서 사는 기생충들인데요. 우리나라는 그런 수영할 만한 웅덩이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직까지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고요.
◇ 박재홍> 알겠습니다. 말씀 여기까지 들을게요. 고맙습니다.
◆ 서민> 네, 감사합니다.
◇ 박재홍> 단국대 의과대학의 기생충학과의 서민 교수였습니다.
[박재홍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박재홍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