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제공/자료사진)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 가운데 대북 관련 발언은 새로운 제안없이 기존 주장만 되풀이해 남북관계 긴장이 계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이 분석했다.
북한대학원 대학교 양무진교수는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 70주년 경축사를 기대했지만, 북한의 숙청과 주민불안 등을 지적하는 부적절한 인식을 토대로 기존의 주장을 반복했다"고 지적했다.
양 교수는 "박 대통령이 북한이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요구하는 대북전단살포중단과 한미군사훈련, 5.24조치해제, 금강산 관광 제개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남북이산가족 상봉과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경원선 복원 등만 강조했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박 대통령이 높은 수준의 안보와 낮은 수준의 남북협력을 강조해 남북이 함께하는 평화통일이 아니라 일방적인 통일을 예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북한도 광복 70주년 중앙보고대회를 통해 '선군의 기치높이 인민군대강화와 안팎의 분렬주의자들의 온갖 도전과 방해책동을 단호히 짓부시겠다'고 강경입장을 나타냈다"고 지적했다.
양 교수는 따라서 "남북이 이처럼 대립이 계속되고 박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계속 갖고 있는 한 당분간 긴장국면과 함께 남북대화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세종연구소 정성장 통일전략연구실장도 "박근혜 대통령이 8.15경축사에서 평상시 북한에 대한 생각들을 그대로 다시 ‘솔직하게’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정 실장은 "남한의 대북정책 목표와 북한의 대남정책 목표 간에는 합치될 수 있는 부분보다 상호 모순되는 부분이 더 많기 때문에 서로 솔직하게 자신의 입장을 공공연하게 밝히면 분단 100년이 지나도 의미 있는 남북 대화와 협력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이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을 대통령이 다시 공개적으로 지적하면서 6만 명 이산가족의 명단을 연내에 교환하자고 주장하면 그것을 북한이 받아들을 가능성은 전혀없다"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남북한이 대결에서 평화공존과 협력의 방향으로 나아가려면 타협점을 찾기 어려운 정치군사적 문제보다 상대적으로 쉬운 문제부터 풀어나가겠다는 실용주의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호전적이고 경직된 북한에 대해 한국도 마찬가지로 저차원적으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북한에게 더 큰 도발을 감행할 명분을 제거하고 평화공존과 협력의 방향으로 나오지 않을 수 없도록 보다 성숙하고 지혜로운 대응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