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복원과 개발, 설악산의 두 모습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2014-11-24 16:44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올해 말에 철거될 예정인 설악산 설악동 지구의 식당과 상점들. 건물이 철거되면 이 지역을 자연상태로 되돌리는 복원작업이 시작될 예정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설악산 설악동 지구에서 비선대와 비룡폭포, 울산바위를 오르는 탐방로 주변의 수십 년 된 음식점과 상점들이 내년까지 모두 철거되고 자연 상태로 복원된다고 한다. 주변의 빼어난 경관을 해치고 음주 산행과 오폐수 발생 등의 문제가 끊이지 않자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원래의 모습으로 돌려놓기로 한 것이다. 우리나라 최초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권역으로 지정된 설악산을 자연 그대로 복원해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하지만 설악산에는 이와 정반대의 모습도 있다. 설악산 최고봉인 대청봉까지 한 시간이면 갈 수 있는 곳까지 케이블카 설치 움직임이 본격화 하고 있다. 오색지구에서 해발 1604m 끝청까지 3.4km 구간이 이미 확정됐다. 기존의 설악동 케이블카 외에 추가 케이블카 사업은 자연파괴를 우려한 환경부에 의해 그동안 두 번이나 퇴짜를 맞았지만 이번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조기 추진 지시로 탄력을 받으며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관광객을 끌어 모아 낙후된 지역경제를 살려보겠다는 지자체의 의도를 모르는 바 아니다.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이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은 결국은 모든 것을 잃게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산꼭대기까지 쉽게 접근할 경우 설악산의 생태계 파괴는 불을 보듯 뻔하고, 한 번 훼손된 자연환경이 원상회복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중청대피소에서 바라본 설악산 대청봉 단풍 (설악산 중청대피소 제공)

 

지리산의 3대 봉우리 가운데 하나인 노고단은 지난 1987년 지리산 관통도로 개통 이후 등산객이 급증하면서 풀 한 포기 자라기 어려운 황폐지로 전락했다. 자연훼손과 환경오염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어 한때 도로 폐쇄 여부를 검토했고, 결국 20여년에 걸쳐 복원사업을 벌여야만 했다. 하늘 아래 첫 동네라는 해발 750m 지리산 심원마을도 관통도로 개통 이후 주변 산림 훼손과 환경오염이 심각해 결국 막대한 예산을 들여 주민들을 내보내기로 하고 내년부터 생태계 보존지역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한편에서는 개발이 추진되고, 또 한편에서는 복원사업이 진행되는 설악산의 이중 잣대에서 정부의 일관된 정책을 찾아보기 어렵다. 설악산이나 지리산은 단순히 경제적 이득을 얻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잘 지키고 보호해 후대에게 물려주어야 할 우리의 자연유산이다. 케이블카 설치에 정부가 신중해야 할 이유다.

설악산만이 문제가 아니다. 가리왕산은 산림유전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개발이 엄격히 금지됐지만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알파인스키 활강시설로 지정돼 벌목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올림픽이 끝나면 복구하겠다는 조건인데 건설비용도 복구비용도 각각 천 억 원이 넘는 천문학적 액수다. 제대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도 의문이지만 그나마 복구를 위한 재정 계획은 관련 기관끼리 서로 떠넘기기만 한 채 뒷전으로 밀려있는 한심한 상황이다.

복원도 중요하지만 처음부터 훼손하지 않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