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고용기간 연장, 근로자·기업 온도차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자료사진 (사진 = 이미지비트 제공)

 

정부가 비정규직의 고용기간 제한을 기존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는 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근로자는 대체로 부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구직자 및 직장인 2,877명과 기업 210개사를 대상으로 비정규직 고용기간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구직자와 직장인은 10명 중 6명(63.8%)이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고용기간 제한 연장에 부정적인 이유는 ‘기업의 정규직 전환 회피를 유도해서’(62%,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비정규직이 고착화될 수 있어서’(56.5%), ‘비정규직으로 느끼는 불안은 마찬가지라서’(48.3%), ‘정규직이 되는데 너무 오래 걸려서’(30.1%) 등의 답이었다.

비정규직 고용기간 제한이 늘어나면 정규직으로 전환시켜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부분에 대해서도 79.2%가 부정적으로 봤다.

현재 비정규직 근무 중인 직장인(983명)들은 비정규직 고용기간 제한이 늘어나더라도 본인의 고용 안정성은 ‘달라지지 않을 것’(58.2%)이라고 답했고 ‘오히려 불안정할 것’은 28.8%였다.

반면 고용기간 제한 연장에 ‘긍정적’인 기업은 53.8%로 더 많았다.

긍정적인 이유로는 ‘고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서’(59.3%, 복수응답), ‘제한으로 단기간 근무하면 인력낭비라서’(25.7%), ‘고용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라서’(22.1%), ‘번거로운 재계약 절차를 줄일 수 있어서’(18.6%), ‘영세기업의 채용부담이 줄어서’(16.8%), ‘숙련도를 쌓기에 2년은 짧은 것 같아서’(15.9%) 등을 들었다.

실제 비정규직 고용 제한 기간이 연장되면 비정규직 활용 인력 비중에 변화가 있을지에 대해 30%가 ‘늘어날 것’이라고 밝혀, ‘줄어들 것’(9.5%)이라는 응답보다 3배 이상 많았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