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안정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둔화됐다. 통상 여름철에는 무더위 등으로 물가가 오름세를 보이는데, 올해는 농산물 가격이 상승폭이 예년보다 작았던 점이 물가상승세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8월에 비해(전년동월대비) 1.4% 올랐다. 지난 5월과 6월에 물가상승률이 1.7%, 7월에 1.6%를 기록한데 이어 지난달 1.4%를 기록하면서, 물가상승률이 2개월 연속 꺾이는 모습이다.
공업제품 가격이 전년동월대비 2.1% 상승하고, 전기가스수도가 3.3%, 집세 2.2%, 개인서비스가 1.9% 오르는 등 여러 항목에서 가격이 오름세를 보였지만, 농축수산물이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4.8%, 석유류가 -4.7%를 기록하며 물가 안정세를 이끌었다.
실제로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4% 상승하면서 올들어 가장 높았다. 기상이변이나 국제정세 불안으로 농축수산물이나 원자재, 석유류 가격이 오르기 시작하면 언제고 물가 급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얘기다.
지난 7월과 비교한 지난달 물가는 0.2% 올라 전월대비로는 물가 상승폭이 확대됐다. 이는 잦은 비 등 기상악화로 채소가격이 전월 대비 14.6% 상승한 영향이 가장 컸다.
그러나 과일가격과 축산물, 수산물 등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큰 폭의 오름세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가공식품(0.1%)과 도시가스 요금(0.3%), 집세(0.1%), 외식비(0.1%)도 전월대비 상승했지만, 석유류 가격이 하락(0.9%)하면서 상승효과를 상쇄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물가는 기상악화로 인한 농산물 가격 급등 등 특이 요인이 없는 한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추석을 앞두고 추석 성수품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가는 한편 물가물안 요인에 대해서는 선제적 대응과 구조개선 노력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