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안부 피해 할머니 2명 '글렌데일 소녀상' 방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2014-07-25 05:48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소녀상 건립 1주년…"우리는 아직도 일본과 전쟁 중"

 

일본군 위안부 참상을 증언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이옥선(87)·강일출(86) 할머니가 24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州) 글렌데일시(市) 시립공원에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을 찾았다.

글렌데일시의 소녀상은 지난해 7월30일 가주한미포럼(대표 윤석원) 등 한인단체의 주도로 건립됐으며, 주한 일본대사관 맞은 편 소녀상과 마찬가지로 김운성·김서경 부부 작가가 제작했다.

특히 이 소녀상은 해외에 세워진 1호 작품이고 일본군 위안부를 기리는 상징물이 미국 서부지역 지방정부 공공부지에 들어선 것도 처음이었다.

두 할머니는 이날 휠체어를 타고 소녀상을 방문해 헌화하고 묵념했다. 이어 소녀상을 어루만지면서 "너무 고맙다. 죽기 전에 일본 정부로부터 사과를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먼저 세상을 떠난 할머니들이 얼마나 원통하겠느냐"면서 "죽어서라도 (일본 측으로부터) 사죄를 받게 해달라"고 기원했다.

이 할머니는 "사람들은 모두 해방이 되어 좋아했지만, 우리는 지금까지 (일본과) 전쟁을 하고 있다"면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사람들이 일본군 위안부 참상을 알아줘 죽어도 원이 없다"고 밝혔다.

강일출 할머니는 극우파 일본계 단체 '역사의 진실을 추구하는 세계 연합회'가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데 대해 "자기네 땅도 아닌 미국 땅에 세워졌는데 감 놔라 배 놔라 하는 것은 도리에 어긋나는 짓"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자기네 나라도 아닌 곳에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졌는데 무슨 상관이냐"면서 "전 세계에서 가만히 놔두지 않을 것"이라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두 할머니는 '평화의 소녀상' 방문을 마치고 인근 중앙도서관 내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한국만화기획전을 감상했다. 이 기획전에는 지난 1월 말 프랑스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에 출품된 '지지 않는 꽃' 등이 전시돼있다.

두 할머니는 이어 도서관을 찾은 글렌데일시 시민에게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참상을 증언했다.

한편, 두 할머니는 이날 저녁 로스앤젤레스 시내 가든 스위트 호텔에서 열리는 '후원의 밤' 행사에 참석한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