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증가, 소비지형 바꾼다"…오히려 국내소비 증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2014-01-07 14:07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1인 가구가 늘면서 국내 소비가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고가영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7일 '1인 가구 증가, 소비지형도 바꾼다' 보고서에서 1인 가구 증가와 가구원수 감소가 소비지출에 영향을 미쳐 2020년까지 소비를 3.1% 증가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인구 고령화로 소비가 1.6%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도 전체적으로는 소비가 2.1% 늘어나게 된다.

이는 집과 가전제품 등 여럿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을 1인 가구는 개별적으로 소비해야 하고, 생활패턴도 2인 이상 가구와 다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2030년에는 고령화가 소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커져 전체 소비가 0.9%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고 연구원은 "연령별·소득별 차이를 조정해 환산한 결과, 2012년 1인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146만원, 소비는 114만원이었다"며 "가구 소득이 같다고 가정할 경우 2인 가구의 1인당 소비는 105만원으로, 2인 가구가 1인 가구화되면 전체 소비는 8%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특히 결혼 전 씀씀이가 큰 30대 이하는 1인 가구의 한달 지출이 평균 140만원으로 2인 가구의 1인당 소비지출(112만원)보다 25%나 높았다.

가구원 숫자에 따라 지출 차이가 가장 큰 부문은 주거비였다.

1인 가구의 주거비(약 20만 4천원)는 2인 가구의 1인당 지출(약 12만 6천원)보다 62% 많았다.

이는 1인 가구의 경우 2인 이상 가구가 공유하는 거실, 부엌, 화장실 등을 혼자 써야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주거비 다음으로 차이가 큰 품목은 주류·담배로, 남성 1인 가구의 주류·담배 소비(4만원)가 2인 가구의 부부 합산 소비(1만 6천원)보다 컸다.

이에 비해 의류비는 30대 이하 여성 1인 가구의 한 달 지출(15만 7천원)이 같은 연령대 2인 가구의 부부 합산(19만원)과 비슷했다.

1인 가구는 온라인 네트워크 등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수단에 돈을 많이 쓰기 때문에 통신 지출(6만 8천원)이 2인 가구의 1인당 지출(6만 2천원)보다 10% 컸다.

혼자 살면 여행도 자유롭게 다닐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1인 가구의 여행비 지출(2만 5천원)은 2인 가구의 1인당 지출(3만 3천원)보다 24% 적었다.

30대 이하 여성을 제외하면 남성 1인 가구나 고령 1인 가구의 여행 수요가 크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