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 교동도, 작년 귀순뒤 경비병 2배로 늘렸는데"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민간인 3천명 사는지역, 문제일으키고 북갔다면 어떤 피해 발생했을지

-철책 선진화 방안, 해병 관리지역은 후순위로 밀려
-작년엔 진돗개, 올핸 을지훈련에 노크귀순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 1 (18:00~20:00)
■ 방송일 : 2013년 8월 23일 (금) 오후 6시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김광진 민주당 국방위원


 

◇ 정관용> 어제 오전 강화군 교동도를 통해서 북한주민 한 명이 귀순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이른바 셀프 귀순 그리고 노크 귀순입니다. 민가를 방문해서 또 민가를 방문할 때까지 어떤 군인과 만나지도 못하고 민가에서 잠자고 있는 주민들을 깨워서 “나, 북에서 왔습니다. 귀순하겠습니다.” 이렇게 했다는 것 아니겠습니까? 게다가 지금은 을지훈련 기간이죠. 우리 군의 경계태세 어떻게 봐야 할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의 김광진 의원 목소리를 들어보겠습니다. 김 의원님 안녕하세요.

◆ 김광진> 네, 안녕하십니까. 김광진입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새벽이죠?

◆ 김광진> 네.

◇ 정관용> 새벽 몇 시쯤이에요?

◆ 김광진> 3시 40분 이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귀순한 분의 신원은 지금 알려져 있죠?

◆ 김광진>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마는 40대의 남성으로 지금 예견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이 교동도라고 하는 곳이 북한하고 얼마나 떨어져 있는 곳이에요?

◆ 김광진> 아시는 것처럼 강화도 인근인데요. 강화도 인근에 섬들이 몇 군데가 있는데. 석모도나 서검도나 있는데. 그 중에 교동도는 3000명 정도 우리가 사시거든요. 북한과는 아주 가까운 거리로 치면 한 2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 정관용> 2km?

◆ 김광진> 네. 그래서 실제로 보면 아주 좋은 망원경이 아니더라도 웬만한 기구를 통해서 보면 그쪽에서 낚시하는 모습이나 이런 것까지 다 보이죠.

◇ 정관용> 그러면 2km 거리를 헤엄쳐서 건넜다는 겁니까? 어떻게 된 것입니까?

◆ 김광진> 지금 이분 같은 경우는 헤엄쳐서 건넜다라고 말씀을 하게 된 거고요. 그리고 다만 이 지역이 좀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국민들이 오해하시는 게 어떻게 바다를 헤엄쳐서 올 수 겠느냐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이 있는데. 사실 여기가 조수의 특성이 가만히만 있어도 그냥 그대로 떠밀려서 내려오는 공간이에요.

◇ 정관용> 그래요?

◆ 김광진> 그래서 가끔 보면 통나무 잡고 내려왔다, 이렇게 오신 분들도 있고. 아니면 배가 엔진이 꺼져서 자연스럽게 남한으로 내려와서 다시 돌아가고 싶다, 이렇게 요청하는 경우도 있고. 그런 것이 좀 발생하는 지역입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여기의 조수가 북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그런 곳인 모양이군요?

◆ 김광진> 네. 그런데 또 물이 빠지고 나고 하면서 반대의 상황에서는 우리 쪽에서 저쪽으로 넘어가는 조류도 발생하는 그런 지역입니다.

◇ 정관용> 그런데 이 새벽 3시, 이 시간 때는 북에서 남으로 내려오는.

◆ 김광진> 북에서 내려오는 조수죠.

◇ 정관용> 그렇다면 뭐랄까요? 통나무가 됐건 아무튼 물에서 뜰 수 있는 것만 잡고 있으면 그냥 내려온다, 이런 얘기군요?

◆ 김광진> 그리고 그 부분이, 그쪽 동네가 한강의 하구이기도 하고 북한쪽에서도 부유물들이 많이 내려오는 데여서 통상적으로도 이런 것들이 좀 많이 있습니다. 통나무라든가 이런 것들이요.

◇ 정관용> 통나무라든가 이런 건 많겠지만 사람은 드문 것 아닙니까?

◆ 김광진> (웃음) 그렇죠.

◇ 정관용> 그런데 지금 설명하신 것처럼 가깝기로는 2km밖에 안 되고. 게다가 또 가만히 떠있으면 그냥 내려온다고 하고. 이런 곳일수록 굉장히 삼엄한 경계 같은 게 있어야 되는 지역 아닌가요?

◆ 김광진> 그렇죠. 사실은 게다가 교동도 딱 이 지점 같은 경우에는 작년 9월에도 똑같은 일이 발생됐던 지역이지 않습니까?

◇ 정관용> 작년에 9월에는 통나무를 타고 왔다고 그러지 않아요?

◆ 김광진> 네, 통나무를 타고 내려와서 심지어는 그나마 이분 같은 경우는 오늘 새벽에 오셔서 그날 바로 자수를 하신 건데. 작년 9월에 내려오신 분은 6일간 방황하다가 발견된 사건이었죠?

◇ 정관용> 그런데 바로 이런 지역인데. 지금 어떤 경계태세가 쳐져 있습니까? 초소라든가 군부대 이런 건 어디에 어떻게 있나요?

◆ 김광진> 인천이나 강화 이쪽에는 주로 해병대에서 관리를 하는데. 많이 들어서 아시는 해병대 청룡부대라고 하는 부대가 한 1만 명 정도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교동도에는 200명 정도의 군인들이 해안경계를 하고 있는데요. 사실은 200명이 작다면 작고, 많다면 많은 인원인데. 작년까지만 해도 100명이 여기를 감시했었거든요. 사건이 터지고 나서 이걸 두 배로 늘려서 200명이 되고 최고 지휘관도 당초에는 대위급이었다가.

◇ 정관용> 대령?

◆ 김광진> 아니요, 대위.

◇ 정관용> 아, 대위.

◆ 김광진> 대위급이었다가 이번에는 200명이 되면서 2개 중대로 되면서 소령급으로 격상시킨 상황이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1년 만에, 거의 정확하게 1년 만에 이런 일이 또 발생했다고 하는 것은 경계에 있어서 다시 한 번 고민의 지점이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이게 몇 m 간격으로 초소가 있고 거기에 우리 병사들이 24시간 지키면서 해안을 경계하고 바다를 주시하고 이런 체계로 되어 있지 않나보죠?

◆ 김광진> 그런 식으로 되어 있는데. 조금 다른 것이 예를 들면 교동도는 전체 해안을 보면 38km 정도가 됩니다. 전체로 봤을 때. 그래서 저희가 침범해서 올 것이다라고 하는 것을 우려해서 철책을 세워 놓은 것은 38km 중에 24km만 철책을 세웠습니다. 이분 같은 경우는 철책이 없는 공간을 통해서 들어오게 된 것이죠.

◇ 정관용> 왜 철책을 24km만 했을까요?

◆ 김광진> 하다 보니까 다하지 못하고 그쪽 동네는 민간인들이 좀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고 하다 보니까 둘러두는 것보다는 필요한 곳에 하는 것이 더 급선무다라고 하는 판단으로 하셨던 것 같은데. 그러다 보니 아마 이 사람 같은 경우는 꼭 민가를 가자, 군부대를 가자하는 게 아니라 가까운 불빛을 보고 가신 것 아닙니까?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