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의원이 김건희 씨의 경회루 비공개 방문 현장 사진을 보이며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에게 질의를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씨가 경복궁 근정전에 들어가 어좌에 앉은 사실이 드러났다. 국정감사장에선 "일개 아녀자가 용상에" 등 분노가 담긴 호통이 쏟아졌다.
국회 문체위는 22일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김건희씨가 경복궁 근정전에 들어가 조선 왕들이 앉았던 어좌에 올라가 앉은 사실이 드러났다. 경복궁의 정전인 근정전 내부에는 당가가 있고 그 가운데에 어좌가 있다. 즉위식, 외국 사신 맞이, 조회 등 공식 업무 때 왕이 앉는 곳이다.
앞서 조선 왕실의 신주를 모신 왕실 사당인 '종묘'에서 개인 행사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난 김건희씨가 이번엔 경복궁 근정전 어좌에 앉은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근정전 내부는 출입 금지다.
국가유산청 자료에 따르면 김건희씨는 2023년 9월 12일 경복궁에 갔다. 경복궁 휴궁일인 화요일이었다. 국가유산청은 "당시 배석한 관계자에게 확인한 결과, 김씨가 용상(어좌)에 앉은 사실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이 김건희 씨의 경복궁 방문과 관련 의원 질의를 받고 있다. 윤창원 기자민주당은 당시 배석한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정용석 사장에게 이를 캐물었다. 양문석 의원이 "김건희가 왜 근정전 용상에 앉았느냐"라고 묻자 정용석 사장은 "잘 모른다. 저도 수행하고 있었는데 몰랐다"고 답했다.
양 의원은 계속해 물었지만 정 사장은 "모른다. 기억나지 않는다"는 답만 반복했다. 양 의원이 결국 분노를 터뜨렸다. 그는 "일개 아녀자가, 근정전에 들어갔다"며 "김건희 본인 스스로 앉은 것이냐, 최응천(당시 국가유산청장)이 앉으라고 했느냐"고 말했다.
정 사장은 계속해 "기억나지 않는다. 죄송하다"고 답을 피했다.
그러자 이번엔 민주당 이기헌 의원이 질의를 쏟아냈다. 이 의원은 어좌가 158cm 높이의 단 위에 있고, 총 네 계단인 점을 언급하며 "올라갈 때 누가 도와줬느냐"고 물었다. 정 사장은 이번에도 "솔직히 기억이 안 난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김건희는 계단으로 올라갔느냐, 일월오봉도 뒤로 갔느냐"고 물었고, 정 사장은 답하지 않았다. 일월오봉도는 어좌를 둘러싸고 있는 그림으로 왕의 권위를 상징한다.
이 의원은 당시 동행한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앉으라고 권유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의 집중 질의에 정 사장은 "기억나지 않는다"면서 "상황이 그랬을 것 같다"고 했다. 이배용 전 위원장은 김씨에게 금거북이를 주며 매관매직했다는 의혹에 휘말린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