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왼쪽)과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유엔본부 의장실에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회동했다.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본의 아니게 지각하게 됐다"며 "유엔 의전이 상당히 복잡하게 돼 있고, 앞의 다른 정상들 연설이 굉장히 길었다"고 농담 섞인 인사를 건네 참석자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이에 이 대통령은 "뉴욕이 원래 복잡하다고 하더라"며 "우리 대통령님 생일날 제가 통화를 했는데 직접 뵙게 되니 반갑다"고 웃었고,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감사하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7월 24일 취임 후 처음으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정상 통화를 가졌다.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왼쪽)과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대통령실에 따르면 양국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양국 관계의 발전 방향, 실질협력 증진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며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소통과 협력을 심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풍부한 광물자원과 역내 최대 인구를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우즈베키스탄과, 우수한 기술력을 지닌 우리나라 간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양국이 철도, 공항, 도로를 포함한 교통·인프라를 비롯해 핵심광물 등 공급망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인 만큼, 이를 위한 공동 노력을 지속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어 "단일국가로는 최대 규모인 우즈베키스탄 내 17만여 명의 고려인이 정·재계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양국 관계 발전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하기도 했다.
양 정상은 내년에 한국에서 개최를 추진 중인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각급에서 일정과 의제 확정 등 제반 사항에 대해 긴밀한 조율과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