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올해 韓 경제 1.0% 성장 전망"…기존 전망 유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내년 성장률도 2.2% 그대로 전망
1.0% 성장 전망은 韓 정부나 한은, IMF, KDI보다 높은 수준
세계 경제는 올해 3.2%, 내년 2.9% 성장 예상

연합뉴스연합뉴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한국 경제에 대해 올해 1.0% 성장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23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이날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을 통해 "한국경제의 경우 최근 회복세가 지속될 것(The recent rebound in korea is projected to continue)"이라며 '한국의 올해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이 올해 1.0%, 내년 2.2%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다시 내놓았다.

OECD는 매년 2회(5~6월, 11~12월) 세계경제와 OECD 회원국·G20 국가를 대상으로 한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3월과 9월에는 세계경제·G20 국가만을 대상으로 중간전망을 공개한다.

OECD는 지난 6월 발표했던 '경제전망(Economic outlook)'에서 위와 같은 전망치를 발표한 바 있는데, 이는 지난 3월에 발표했던 중간 경제전망의 전망치보다 올해는 0.5%p 낮추고 내년 전망치는 그대로 유지했던 결과였다.

OECD가 전망한 올해 1.0% 성장 전망치는 한국 정부나 한국은행의 0.9%나, IMF(국제통화기금), KDI(한국개발연구원)의 0.8%보다 높은 수준이다.

또 OECD는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올해는 지난 6월 전망보다 0.1%p 높여잡은 2.2%로, 내년은 0.1%p 낮춘 1.9%로 각각 전망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주요국의 경우 내년이 올해보다 대체로 성장이 둔화되는 것으로 전망하는 데 반해 한국의 경우 최근 회복세가 지속되며 내년 성장률이 올해보다 크게 높은 것이 특징"이라고 주목했다.

OECD 중간 경제전망의 성장률 전망. 기획재정부 제공OECD 중간 경제전망의 성장률 전망. 기획재정부 제공
실제로 OECD는 향후 세계경제 성장률이 올해 3.2%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내년 성장률은 기존 전망과 같은 2.9%로 예상했다. 이러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6월 전망보다 0.3%p 높여잡은 결과다.

OECD는 이번 경제 전망에서 세계 경제를 'Finding the right balance in uncertain times(불확실한 시대에 적절한 균형 찾기)'라는 제목으로 요약했다.

이에 대해 OECD는 관세 인상 전 조기선적(front-loading)에 따른 생산 및 무역 증가, 인공지능 투자 등으로 세계경제가 회복세를 유지(remained resilient)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주요국 일부에서 최근 산업생산 및 소매판매 증가세가 둔화됐고, 노동시장도 다소 둔화(softening)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올해 하반기에는 조기선적 효과가 감소하고 관세 인상과 높은 정책 불확실성이 투자와 무역을 위축시키면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경우 관세 인상이 추가로 시행되고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성장세가 둔화(slow)돼 올해 1.8%, 내년 1.5% 성장을 전망했다.

유로존은 완화된 신용 조건이 무역 마찰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가를 일부 상쇄하며 올해 1.2%, 내년 1.0%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의 경우 견조한 기업 이익과 투자 증가세가 경제활동에 호재로 작용하며 올해 1.1%, 내년 0.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은 조기선적 효과 감소, 수입품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 재정지출 축소로 인해 올해 하반기부터 성장률이 하락하며 올해 4.9%, 내년 4.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의 물가상승률의 경우 경제 성장과 노동시장이 둔화됨에 따라 G20 국가는 올해 3.4%, 내년 2.9%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각각 지난 6월 전망보다 0.2%p, 0.3%p씩 낮춰잡은 것이다.

특히 미국의 경우 관세 인상이 물가 상승을 더욱 자극하고, 최종재 가격으로 전가가 강화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연간 인플레이션은 내년에 목표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