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인 11일 코스피가 전날 기록한 장중 사상 최고치(3,317.77)를 하루 만에 갈아치우며 상승 출발한 가운데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방송이 나오고 있다. 류영주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정책 방향을 제시한 가운데, 원자력 분야 전문가들이 "탈원전은 아직 시기상조"라며 지속적인 원전 확대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나섰다.
한국원자력학회는 지난 11일 성명을 발표하고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재생에너지에만 의존하려는 정책은 국가 산업 기반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들은 AI와 반도체 중심으로 재편되는 첨단 산업 구조 속에서, 24시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원자력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원전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 낮은 탄소 배출량 등 여러 면에서 여전히 가장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원이라는 주장이다.
학회는 "신규 원전 건설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이유로 정책에서 배제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10년 뒤를 내다본 전력 수급 계획을 위해 원전 건설을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국원자력학회 평의원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학회 제공이어 태양광과 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는 간헐성과 출력 변동성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며, 기술·설비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서는 에너지 안보에도 한계가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국내 재생에너지 중소기업들이 중국을 비롯한 외국산 장비에 밀려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원전마저 신규 건설이 중단될 경우 관련 산업의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학회는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저 전원으로서 원자력의 역할을 오히려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AI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 등은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지 못하면 운영 자체가 어려워지는 만큼, 재생에너지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학회는 정부에 ▲기존 원전 건설 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 ▲에너지 정책의 장기적 시야 확보 ▲정책 결정 과정에서 과학기술 전문가와의 실질적인 협의 등을 촉구했다.
한국원자력학회 관계자는 "현실을 무시한 급진적인 에너지 전환보다는, 재생에너지와 원전이 균형을 이루는 현실적이고 점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