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트럼프와 격화되는 중동 위기…전쟁과 빈곤에 내몰린 난민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이스라엘-이란 교전과 세계 난민 실태 집중 조명

KBS 제공 KBS 제공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G7 조기 귀국이 미국의 군사 개입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세계 난민의 날'(6월 20일) 전쟁과 빈곤 속에 내몰린 전 세계 1억2천만 명이 넘는 난민의 실태 현장을 조명한다.


美 군사 개입 초읽기?…이란-이스라엘 충돌 속 엇갈린 시선


지난 13일 이스라엘의 선제공격 이후 시작된 교전은 이란 전역으로 확산되며 민간인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이란 내 사상자는 1800명 이상, 이스라엘 측 사상자도 6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G7 정상회의를 도중에 중단하고 조기 귀국한 뒤 18일 국가안보회의를 소집하고 이란에 최후통첩을 보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미군의 군사 개입 준비 완료를 언급했으며, 미 의회 내에서도 이견이 팽팽하다.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은 "이란의 핵 보유 저지가 곧 미국 안보"라고 주장한 반면, 토마스 매시 하원의원은 "이건 우리의 전쟁이 아니다"라며 개입 반대를 분명히 했다.

KBS1 '특파원보고 세계는 지금'는 급박한 이란과 이스라엘 현지 상황, 미국의 개입 가능성과 파장을 분석한다.

KBS 제공KBS 제공

 '67명 중 1명은 난민'…세계 난민 실태, 3개국 현장 집중 조명


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 난민은 1억 2320만 명에 달한다. 이번 방송은 세계 난민의 날(6월 20일)을 맞아 태국·시리아·파나마에서 제작진과 글로벌통신원이 직접 취재한 난민 실태를 전한다.

◇ 태국 = 의료지원 중단, 병원 문 닫힌 난민촌

트럼프 행정부의 해외 원조 중단 여파로 태국-미얀마 국경 메솟 난민촌 병원들이 운영을 멈췄다. 병원 폐쇄 후 치료를 받지 못한 71세 미얀마 여성이 나흘 만에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다. 현지 주민과 의료진은 "이 병원이 사라지면 갈 곳이 없다"며 절박함을 호소했다.

◇ 시리아 = 폐허 속 귀향, 재건 없는 귀환

내전 종식 후 약 83만 명의 난민이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그들을 기다린 건 폐허와 불발탄이 널린 거리였다. 전기와 물 공급도 끊긴 곳에서 난민들은 "그래도 우리는 시리아에서 살고 싶다"고 말한다.

◇ 파나마 = 뱃삯도 없는 귀향…'죽음의 항해'

트럼프의 강경 이민 정책으로 미국행이 막힌 중남미 이민자들은 파나마 미라마르 항구에 발이 묶였다. 뱃삯이 없어 한 달째 귀향을 못한 베네수엘라 가족, 사고 위험이 높은 소형 선박 등 열악한 상황이 이어진다.

'특파원보고 세계는 지금' 408회는 21일 토요일 밤 9시 40분 KBS 1TV에서 생방송 된다.

0

1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