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전국 지가 0.05% 상승…서울·수도권, '지가 변동' 주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5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국토부-한국부동산원, 전국 지가변동률 조사 발표
1분기 지가변동률, 지난해 4분기 대비 0.06%↑
1분기 토지거래량, 지난해 4분기 대비 6.2% 감소

2025년 1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국토교통부 제공2025년 1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국토교통부 제공
올해 1분기 전국 지가가 0.50%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가가 전체 지가 변동을 이끌었다. 전국 지가는 지난 2023년 3월(0.008%) 상승 전환한 이후 25개월 연속 상승세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4일 올해 1분기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분기 전국 지가는 0.50%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0.56%)와 비교하면 상승폭은 0.06% 축소했지만, 지난해 1분기(0.43%) 대비 0.07% 늘어난 수치다.

수도권과 지방권 모두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변동률이 다소 떨어졌다. 수도권은 지난해 4분기 0.73%보다 0.07% 낮은 0.66%를, 지방은 0.27%에서 0.22%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서울(0.80%)과 경기(0.57%) 2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시군구도 △서울 강남구(1.30%) △경기 용인 처인구(1.26%) △서울 서초구(1.16%) 등 51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국 252개 시군구 중 219개 시군구는 0.00~0.60% 수준을 보였다. 아울러 1분기 인구감소지역(행정안전부 장관이 고시한 11개 시도, 89개 시군구) 지가변동률은 0.18%로 비대상지역 0.52%와 비교해 0.34% 낮은 수준을 보였다.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지가가 상승해 전국 지가 변동률을 이끈 셈이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이 0.55%, 상업용이 0.56% 상승했다.

한편 1분기 전체 토지 거래량은 약 43.3만 필지(285.8㎢)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6.2% 감소(△2.9만 필지)한 수치다. 또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도 2.6%(△1.1만 필지) 줄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15만 필지(261.2㎢)로 지난해 4분기 대비 8.8%(△1.4만 필지) 감소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분기 전체 토지 거래량은 지난해 4분기 대비 광주 26.6%, 세종 15.4% 등 5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12개 시도에서 줄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광주 105.7%, 전남 1.7%에서 증가하고, 그 외 15개 시도는 감소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