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복지국가들이 코로나 지원에 '짠돌이' 된 이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123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스웨덴·핀란드 등 북유럽 복지국가, 코로나 재정 지원 '인색'
"평소 사회복지 지원 수준 높아 코로나 재정 지원 필요성 감소" 분석
사회복지 수준 낮은 미국 등은 재정 지원 '퍼붓기'
한국은 평소 사회복지 수준 낮고 재정 지원도 미약

지난 1월 14일 스웨덴 스톡홀름 도심에서 식당 주인과 직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제한 조치에 항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70만명에 이르는 스웨덴. 하지만 스웨덴 정부가 코로나19 피해 복구를 위해 지난해 10월까지 재정에서 지출한 지원은 미화 280억 달러에 그쳤다. 누적 확진자가 9만 3천여명인 한국의 절반 수준이었다.

누적 확진자가 22만명 발생한 덴마크도 같은 기간 미화 200억 달러 상당의 재정 지원을 했다.

노르웨이 정부는 누적 확진자 7만 7천여명 발생에 미화 170억원 상당의 재정 지원을 했고 6만 3천여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핀란드는 고작 미화 69억 달러만을 재정 지원했다.

이들 나라들은 확진자 1명 당 적게는 1만 달러에서 많게는 22만 달러를 재정 지원한 셈인데, 60만 달러 정도를 지급한 한국과 비교하면 적은 액수를 지원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복지 국가'로 소문난 이들 북유럽 4개국이 글로벌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에게 이처럼 짜게 굴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역설적이게도 탄탄한 사회복지 시스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0

0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