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이 연달아 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한다. 올 6월 브라질월드컵과 2016년 예정된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이다. 대외경제 상황에 따라 시장이 크게 동요하는 브라질로서는 두번의 국제행사가 전화위복일 수 있다. 하지만 이 국제행사들은 리스크도 내포하고 있다.
브라질은 한때 촉망받는 브릭스(BRICs) 국가 중 하나였다. 전세계 투자자가 경제유망국으로 꼽는 곳이었다. 그랬던 브라질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7.5%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반짝 상승하다가 줄곧 하락했다. 2012년 경제성장률은 0.9%를 기록했다. 2009년 경제성장률 마이너스 0.3% 이후 두번째로 낮은 수치다. 원인은 다양하고 복잡하다. 브라질은 농산물과 철강석 등 1차 산업 중심의 단편적인 수출구조를 갖고 있다. 대부분 중국ㆍ미국ㆍ유럽으로 수출된다. 여기에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로 외국 투자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경제기반이 취약하다 보니 대외경제 상황에 따른 영향을 받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브라질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달라지고 있다. 국제민간시장 예측기관인 글로벌 인사이트는 브라질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3.0~3.3%로 전망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5%로 예상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2.5%로 전망했다. 브라질 정부가 예측한 올해 경제성장률은 지난해(2.3%)보다 1.7% 증가한 4.0%다. 이는 브라질 경제가 점진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정적인 것은 미국 정부의 테이퍼링 속도조절과 대형 스포츠 이벤트 개최다. 대외적인 요인에 따라 브라질 경제가 회복될 수 있다는 얘기다.
지난해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시장의 예상보다 일찍 테이퍼링(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조치)을 선언했다. 시장의 우려와 달리 브라질을 포함한 신흥국의 금융시장은 크게 동요하지 않았다. 테이퍼링에 대한 우려가 이미 반영됐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만은 아니다. 미 연준이 테이퍼링 속도를 완만하게 조절할 것이란 예상과 브라질의 기준금리 상승 기조가 마무리 단계에 도달했다는 점이 브라질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호재도 있었다. 그동안 주춤했던 외국인 직접투자금액(FDI)이 유럽국가를 중심으로 살아나기 시작한 것이다. FDI 감소는 브라질 금융시장을 어렵게 만든 요인 중 하나였다. 미국과 유럽국가들이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브라질의 FDI가 덩달아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브라질이 국제행사를 개최한다. 올 6월 브라질월드컵과 2016년 예정된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이다. 경기 회복이 시급한 브라질로선 절호의 찬스를 얻은 셈이다. 2년 간격으로 열리는 월드컵과 올림픽은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보인다. 남미은행인 이타우우니반코홀딩스는 브라질이 월드컵 개최를 통해 국내총생산(GDP)의 1.5%에 달하는 240억 달러(약 25조8720억원)의 경제부양 효과를 누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25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월드컵이 열리는 올 6월부터 올림픽이 개최되는 2016년 8월까지 관광객수는 평년보다 70%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브라질 경제, 지난해보다 안정적
국가 브랜드 이미지 상승은 해외투자자들에게 브라질의 가치를 부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외투자자들에게 브라질의 가치를 강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 정부가 기대하는 것은 이를 통한 외자유치다. 국제투자대조표(IIP) 직접투자액 계정을 살펴보면 브라질의 외국인 해외직접투자액(FDI)은 2010년 이후 정체됐다. 브라질 해외직접 투자액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과 유럽국가가 글로벌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미국과 유럽국가의 경기회복이 점쳐진다. 기업의 해외투자심리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미국과 유럽의 경기회복은 투자자금 유입뿐만 아니라 수출 증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재 중국이 경제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브라질의 무역수지 적자 전환은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리스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월드컵과 올림픽이 열리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는 인프라 개선과 확충을 위한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2008년부터 시작된 국제 공항시설 확장공사를 올해 말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리우 시내에 건설되는 경전철 6개 노선 가운데 2개는 월드컵 개최 전까지 완공하고, 나머지 4개 노선은 2016년 올림픽 이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무리한 공공시설 투자 확대로 인해 재정건정성 악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로 인해 고정자산 규모가 늘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이것이 높은 기저로 작용할 경우 2016년 이후 브라질의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거다. 월드컵과 올림픽 개최가 물가상승을 부추기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브라질 물가지수 구성은 음식료(24.6%)와 교통(18.9%)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기여도 측면에서 보면 음식료와 개인소비지출 비율이 높다. 이에 따라 월드컵과 같은 국제행사에 따른 물가상승을 피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기로에 선 브라질 경세
특히 지난해 6월 공공요금 인상에서 시작된 대규모 시위는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월드컵과 올림픽 준비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는 브라질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만이 표출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서다. 브라질 국민은 1990년대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infla tion)을 겪었기 때문에 물가상승에 매우 민감하다. 브라질 정부가 지난해 기준금리를 7.25%에서 10.0%까지 상승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브라질이 경제성장 둔화를 감내하면서까지 인플레이션을 조절한 것은 과거 하이퍼 인플레이션 경험으로 혹독한 대가를 치렀기 때문이다.
현재 브라질은 기로에 서있다. 성장으로의 전환이냐, 외자 재유치냐다. 2011년 취임한 호세프 정부는 인프라 투자를 통해 경제성장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다행히 국제시장은 올해부터 2016년까지 브라질 경제성장률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CBSi The Scoop 김승현 대신증권 연구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