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경질된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과 정홍원 총리(자료사진)
			6일 경질된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과 정홍원 총리(자료사진)
		
	
	 
 
박근혜 대통령이 여수 앞바다 기름 유출사고와 관련한 '실언 퍼레이드'로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을 6일 경질했다.
정홍원 총리가 윤 전 장관 본인의 사의를 확인한 뒤 해임을 건의한 데 따른 것이지만 경질 형식이 해임이라는 고강도 카드여서 눈길을 끈다.
정 총리가 국회에서 "깊이 고민을 해서 오늘 중으로 결론을 내겠다"고 답변한 지 2시간 여만의 경질로 민심 이반이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박 대통령의 의지가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윤 전 장관을 그대로 둘 경우 지방선거를 앞둔 여권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정치적 고려의 흔적도 있다.
윤 전 장관 해임은 명과 암의 요소를 모두 갖고 있다. 먼저 암(暗)은 박 대통령의 인사실패가 다시 한번 여론의 입방아에 오르게 됐다는 점이다. 
박 대통령이 취임을 전후해서 단행한 고위직 인사는 실패의 연속이었다. 
제일 먼저 임명한 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 서보지도 못한 채 낙마한 것을 필두로 박 대통령의 수첩에 적혀 있던 인사들이 주요 직위에 올랐다가 얼마 버티지 못하고 소멸해 갔다.
성추행 사건으로 물러난 면직된 윤창중 전 대변인이 박 대통령 인사실패의 결정판이긴 했지만 이후로도 시스템이 아닌 수첩에 의존한 인사실패 사례는 몇 차례 더 있었고, 박 대통령이 '모래알에서 찾은 진주'였던 윤 전 장관이 실패의 대미를 장식하게 됐다.
일각에에서는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사건때 국민에게 책임이 있는듯한 발언으로 국민들의 공분을 샀던 현오석 경제부총리의 교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이미 "이런 일이 재발하면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는 말로 넘어간 만큼 윤 전 장관 해임 불똥이 현 부총리에게까지 튀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게 더 맞을 것 같다.
다만, 고객정보유출사건에 대한 정부 측의 책임을 묻지 않은 상황이어서 신제윤 금융위원장,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교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태다.
윤 전 장관 해임에 따른 명(明)은 위험 요인이 제거됨에 따라 불확실성이 그만큼 줄어들었다는 것. 윤 전 장관은 여수 앞바다 기름유출 사건에서 뿐만 아니라 지난해 4월 인사청문회부터 부적절한 발언 등으로 따가운 시선을 받아 왔다.
이 때문에 개각설이 제기될 때마다 항상 언론에 윤 전 장관 이름이 올랐지만, 해임된 만큼 더 이상 이름이 거론되는 데 따른 부담이나 피로감은 안가져도 된다. 
현오석 부총리에 대한 공개경고에 이어 윤 전 장관을 해임함으로써 공직기강 확립이라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번 두 사건을 계기로 공직자들은 자신들의 말 한마디 한 마디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각인하게 됐다.
박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상 후임자 선정 작업은 긴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연말 청와대를 떠난 김행 전 대변인 후임으로 민경욱 대변인을 임명하는 데까지 한 달 이상 걸렸다.
그러나 해양수산부장관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후보자 선정과 검증작업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