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뉴스] 집회 참석인원, 왜 주최 측은 늘이고 경찰은 줄일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주최 측은 '잔칫집 계산법', 경찰은 '최고조 시점'만 집계

 

뉴스의 속사정이 궁금하다. 뉴스의 행간을 속 시원히 짚어 줍니다. [Why 뉴스]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통해 들을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국정원 대선개입을 규탄하는 촛불집회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17일에 이어 오는 23일에도 전국적으로 국정원의 선거개입을 규탄하는 집회가 예정돼 있다.

그런데 집회 참석인원을 두고 주최 측과 경찰의 발표가 적게는 2~3배에서 많게는 7~8배 심지어 10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등 너무나 달라 논란이 일고 있다. 주최 측은 가급적 참석인원을 늘이려 하고 경찰은 가급적 참석인원을 줄이려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래서 오늘 (Why뉴스)에서는 "집회 참석인원, 왜 주최 측은 늘이고 경찰은 줄일까?" 라는 주제로 그 속사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 집회 주최 측과 경찰 측의 참석인원 집계가 너무 차이가 난다?

17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진상 및 축소은폐 의혹 규명을 위한 시민사회 시국회의의 제8차 범국민촛불집회에서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에 대한 박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하는 대형현수막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윤성호기자/자료사진

 

= 그렇다.

주말이던 지난 17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제8차 '국정원 대선개입 규탄 촛불집회' 참가자는 주최 측에서 4만 명으로 집계했지만 경찰은 9천명이라고 추산했다. 지난 10일 7차 촛불집회 참가자를 두고는 주최 측인 국정원 시국회의는 6만 명(일부에서는 5만 명으로 집계)으로 집계했지만 경찰은 1만6천명으로 발표했다.

대략 4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지난 3일 집회에서는 주최 측 3만 명 경찰 4천명으로, 지난달 27일에는 주최 측 2만5천명 경찰 7천5백 명으로 큰 차이가 난다.

▶ 너무 차이가 많은데 왜 그런 거냐?

= 집회 참가인원 추산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최 측은 이른바 잔칫집 계산법을 사용한다. 집회가 시작된 뒤 잠시라도 참석했다가 떠나도 참석한 것으로 파악한다. 결혼식 하객으로 참석한 사람은 잠시 와서 인사만 하고 가더라도 참석한 것으로 보는 것과 같다.

국가정보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진상 및 축소은폐 의혹 규명을 위한 시민사회 시국회의 줄여서 '국정원 시국회의'라고 하는데 참여연대 등 284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돼 있다. 국정원 시국회의는 참가단체로부터 통보된 참석인원을 집계하고 여기에 현장에서 참석했다가 빠져나간 인원을 포함한다.

반면 경찰은 집회가 정점에 달한 시점의 참석인원만을 참석인원으로 파악한다.

경찰은 1평(3.3㎡)에 성인이 앉았을 경우 4명 서있을 경우 6명으로 계산해서 집회 장소 면적에 이 인원을 곱해서 참석인원을 산출한다. 집회가 시작되기 전 부터 10분 단위로 참가자를 확인해 가장 정점일 때 참석인원을 집회참가자로 추산하는 방식이다.

그렇지만 경찰의 이 방식이 집회참가자를 축소한다는 논란이 일면서 사진을 찍어서 참석인원을 일일이 세는 방법을 동원하기도 한다. 경찰청의 한 고위관계자는 "최근 촛불집회는 전체 사진을 찍어서 일일이 몇 명인지 확인한다"라고 말했다.

▶사진을 찍어서 일일이 참석인원을 확인한다면 그 방식이 정확한 것 아닌가?

= 사진을 찍은 시점으로는 정확한 참석인원을 파악하는 게 맞을 수 있다. 그렇지만 참석인원은 연인원으로 파악을 하기 때문에 이 방식이 정확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집회 시작 전에 도착해서 잠시지만 참석을 했다가 떠나는 경우도 있고 집회가 중반을 넘긴 뒤 늦게 도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 인원을 포함할 것이냐 아니냐의 차이가 있다. 또 주변 인도에서서 집회를 지켜보는 걸 집회 참가자로 볼 것이냐 아니냐의 차이도 있다.

이성한 경찰청장이 지난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집회가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의 참가자 수를 계산하는 경찰의 현재 집계 방식이 집회에 잠시 참여했다 돌아갔거나 중간에 참여하는 인원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점이 있다"며 "주최 쪽 추산과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보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금의 경찰 측 집회 참석인원 추산에 한계가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역대 집회를 보면 경찰의 집회 참가자 추산 기준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서울 시청광장을 가득 메운 시민들(자료사진)

 

2009년 6월 29일 오전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경복궁 앞뜰에서 엄수된 가운데 같은 시각 태평로 거리에서 시민 영결식이 진행되고 있다. 자료사진

 

= 그런 측면이 있다.

2002년 월드컵 당시 경찰은 서울시청 광장과 광화문 광장을 가득 메운 응원인파를 135만 명이라고 발표 했지만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 추모인원이 시청 앞 광장과 광화문 세종로 부근 일대를 가득 메운 인원을 15만 명이라고 발표했다.

2008년 6월 10일 광우병 촛불집회 당시 주최 측은 70만 명이 몰렸다고 발표했지만 경찰 추산은 8만 명이었다.

지난해 10월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싸이의 공연에 경찰은 8만 명이라고 추산했고 주최 측인 서울시는 10만 명이라고 집계했다.

경찰이 앉았을 때는 4명 서있을 때는 6명으로 계산한다고 했는데 밀도 높을 때는 평당 15명까지도 가능하다고 한다. 경찰은 2008년 촛불집회 때는 1평에 8명으로 계산을 했고 2002년 월드컵 응원 때는 10명으로 집계했다.

한국진보연대 장대현 집행위원장은 "집회 참가인원을 두고 논란이 일어서 직접 실험을 해보니 빽빽하게 참가했을 때는 평당 10명까지 가능했다"고 말했다.

▶경찰이 집회 참석인원을 축소한다는 얘기냐?

= 집회 주최 측에서는 그런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한국진보연대 장대현 집행위원장은 집회 참석자 집계가 다른 이유를 3가지로 분석했는데 "첫 번째는 1평당 참석자를 계산하는 방법이 다르고 두 번째는 집계하는 시간이 다르고 세 번째는 누적인원을 포함하느냐 아니냐의 차이가 있다"며 "경찰은 정책적으로 집회 참가자 수를 줄이려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경찰 내부의 의견은 달랐다. 경찰청 김호윤 경비국장은 "경찰은 참석규모에 따라서 경력(경찰병력) 운용을 하므로 참석자 수를 줄일 이유가 없다"며 "집회장소 주변에 차벽을 치거나 폴리스 라인을 설치하기 때문에 그 안에 참석한 대상자를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력을 운용하기 위한 참석자 파악이므로 줄이거나 더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현장에서 시위대와 부딪히는 일선 경찰관계자의 말은 달랐다.

한 일선 경찰간부는 "시국이 시국인 만큼 아주 객관적으로 참석자를 집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의 한 고위간부도 "집회 참가자 집계는 아주 드라이하게 한다. 집회측이 원하는 대로 파악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아주 객관적'이라거나 '드라이 하게 한다'는 표현은 우회적으로 참가자 수를 축소하고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그렇다면 집회 주최 측은 참석인원을 부풀리지 않나?

= 사실 그 점에 대해서는 집회측도 변명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시민사회단체의 간부들에게 물어보면 집회 주최 측의 인원 집계가 과학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국정원 시국회의 한 관계자는 "집회 진행 팀에서 여러 명의 의견을 들어서 참석자 수를 결정하는데 경험칙에 의하거나 감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참석 숫자를 두고 논란이 있어서 여러 차례 집회장 주변을 돌아보면서 집계하려고 노력한다"며 "며 "일일이 셀 수는 없지만 얼마나 빽빽하게 앉아 있는지 몇%가 앉아 있고 몇%가 서 있는지를 파악해서 참가자 수를 집계한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이 취재를 하다가 충격적인 얘길 들었는데 시민단체에서 오랫동안 일해 온 한 중견간부가 이런 얘길 했다. 익명을 전제로 한 얘기여서 누군지는 밝히지 못하겠지만 이름을 대면 알만한 관계자의 얘기다. 이 관계자는 "집회 주최 측에서 참석인원을 부풀리는 측면이 있다"며 "모든 집회가 그런 건 아니지만 주최 측에서 공개하는 참석자의 절반으로 보면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에서도 집회 주최 측에서 참석인원을 부풀린다고 말한다. 경찰의 한 고위간부는 "집회 주최 측에서는 흥행이 되어야 하니까 가급적 참석자 수를 부풀리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줄이고 집회 주최 측은 늘이고 왜들 참석자 규모에 연연하는 거냐?

= 경찰이나 집회 주최 측은 집회참석자 숫자가 '여론의 크기'를 반영한다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몇 명이 참석했느냐가 여론의 크기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민단체는 가급적 많이 왔다고 하고 경찰은 정책적으로 줄이려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의 한 간부도 "지금 시국이 시국인 만큼 가급적 참석자 숫자를 냉정하게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집회 참가가 숫자가 만 명이다 5만 명 10만 명 20만 명 이런 크기에 따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느낌이 다른 건 맞다. 촛불집회에 100만인파가 몰렸다고 하면 그 보도를 접하는 사람들이 대단하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그렇지만 참석자 숫자가 중요한 요소이긴 하지만 모든 게 참가자 숫자에 좌우되는 건 아닐 것이다.

국정원의 대선개입 문제와 김용판 서울경찰청장의 중간수사결과 발표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사건이다. '민주주의 꽃'이라는 선거에 공직자가 국가 공권력을 이용해 영향을 미치려고 했기 때문이다.

국정원 촛불집회가 8차에 걸쳐 진행됐고 참석자는 무더위에도 불구하고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왜 촛불집회가 계속 이어지는지 왜 국회가 국정원을 상대로 국정조사를 했는지 이런 것들이 더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 여름휴가 때마다 나오는 방식이 부산 해수욕장의 피서인파 계산법이다. '해운대 해수욕장에 100만 인파' '광안리 해수욕장에 70만' 이라는 보도를 자주 접한다.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은 길이 1.5km, 폭 30~50m, 평균수심 1m, 면적 58,400㎡(1만7,700평)인데 서울시청 앞 광장이 12,600㎡(3,995평)이다. 서울시청 앞 광장을 4천 평으로 보니까 1평에 5명이 들어가면 2만 명 정도이다. 경찰의 이 계산법으로 해운대 해수욕장 피서객을 추산하면 1만8천 평으로 보더라도 9만 명이 최대치가 된다. 그렇지만 해수욕장 피서객을 백사장에 있는 인파만 집계하지는 않는다.

백사장 인근 지역의 유동인구까지 합산하고 하루에 4번 집계를 한다. 그래서 80만 명에서 100만 명까지의 피서객 숫자가 나오는데 정확한 피서객 숫자라기보다는 상징적인 숫자 근접 치라고 본다. 피서 절정기에는 백만 인파쯤은 와야 한다는 기대치도 있는 것이다.

0

0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