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건설3사 캄보디아에서 '리베이트 파티'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극동건설ㆍ금호산업ㆍ현대엠코, 정부자금 '리베이트'로 챙겼나

대형 리베이트 사건이 또 터졌다. '이역만리' 캄보디아에서다. 이곳에 진출한 극동건설·금호산업·현대엠코가 현지 업체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리베이트를 챙겼다는 의혹이다. 문제는 이 리베이트가 국민 혈세로 조성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일부라는 것이다.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 캄보디아 현지법인 AㆍB사, 비밀 회계장부 단독입수
"Commission For Project Road NO.3…(극동건설 사업)"
"Commission For AMCO"

# 리베이트 50만 달러 금호산업에 배달한 M사 대표
"처벌 달게 받겠다. 금호산업 현지법인장에게 내가 현금 건넸다."

# 캄보디아 A사 법인장이 작성한'리베이트 문건'
견적금액보다 계약금액 부풀려 리베이트 자금 조성

#국민의 혈세로 만든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건설사 리베이트로 빠져나갔나

# 세 건설사 리베이트 의혹, 검찰 수사 시작

인도차이나 반도의 중앙에 있는 이 나라, 캄보디아. UN 분류 최빈국이다. 국내총생산(GDP)은 142억 달러, 1인당 GDP는 1000달러가 채 되지 않는다. 한국과의 지난해 교역액은 7억2000만 달러(이하 IMFㆍ한국무역협회ㆍ외교부 2012년 자료)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기회가 원천봉쇄된 '희망 없는 나라'는 아니다.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 일대는 미래의 땅으로 불린다. 특히 건설ㆍ부동산 관련 기업에 그렇다. 현지 건설업체 관계자는 "캄보디아 프놈펜의 도로 포장률은 5% 남짓"이라며 "도시 인프라가 아직 갖춰지지 않아 개발 여지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국내 건설사들은 발 빠르게 캄보디아에 둥지를 틀었다. 2007~2009년이 절정기였다. 2009년 한국의 대對캄보디아 건설투자액은 1억1651만 달러(신고금액 기준)로, 전체 투자액의 41%에 달했다. 정부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도 건설 부문에 집중 투입됐다. [※ 참고: EDCF는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을 지원하고, 경제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1987년 설치된 정책기금이다. 총 금액의 70%가 정부출연금이다. 국민의 혈세로 만든 '소중한' 돈이다.]

캄보디아에 지원된 EDCF는 2001년 이후 현재까지 2억8889만 달러(11건)다. 그중 8건은 도로ㆍ수자원ㆍ국도ㆍ댐 사업에 들어갔다. 극동건설ㆍ금호산업(건설부문)ㆍ현대엠코 등 국내 주요 건설업체들이 사업을 맡았다. 한국 건설사들이 EDCF를 활용해 캄보디아를 '리모델링'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 역시 '소중한' 작업이다.

미래의 땅 캄보디아에서 무슨 일이…

문제는 이런 건설현장에서 '리베이트 파문'이 일고 있다는 점이다. The Scoop가 단독 입수한 캄보디아 현지업체 A사ㆍB사의 회계장부와 바우처(voucher), 그리고 A사 법인장이 직접 작성한 '리베이트 문건'에는 극동건설ㆍ금호산업ㆍ현대엠코가 거액의 리베이트를 챙긴 흔적이 담겨 있다. 세 건설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장들이 A사ㆍB사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리베이트를 수수했다는 정황이다.

 

캄보디아 현지업체 A사는 국내 벤처기업 M사가 2008년 12월 5000달러를 투자해 만들었다. 건물ㆍ교량ㆍ도로의 건설ㆍ보수사업을 한다. [※ 참고: M사는 A사 측이 보낸 돈을 모아 금호산업 현지법인장에게 전달했다. M사는 A사의 대주주다.] B사는 A사의 계열사다. 안전시설ㆍ가드레일 등 표지판을 만들고, 차선을 도색하는 일을 한다.

The Scoop가 입수한 AㆍB사의 회계장부는 2009~2012년 5월분이다. A사의 법인장이 작성한 '리베이트 문건'은 엑셀파일로 정리된 A4 용지 두장 분량으로, K사(금호산업)ㆍH사(현대엠코)에 리베이트를 줬다는 기록이 담겨 있다.

이 리베이트 사건은 현재 검찰이 수사하고 있다. A사의 법인장은 올 7월 말 기소중지됐다. 극동건설ㆍ금호산업ㆍ현대엠코 현지법인장은 참고인 중지됐다. 기소중지란 범죄의 객관적 혐의가 인정되는 경우에도 피의자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으면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수사를 중지하는 처분을 말한다. 과연 세 건설사는 캄보디아에서 '리베이트 파티'를 벌인 걸까. 그것도 국민이 만든 EDCF 지원금으로 말이다. The Scoop가 '캄보디아 리베이트' 사건을 추적했다.

 

◆ [Rebate1] 금호산업, 한국서 리베이트 수수

금호산업은 2008년 캄보디아 시엠립 하수처리ㆍ하천정비사업, 캄포트 우회도로 개선공사를 수주했다. 총 사업비는 2370만 달러, EDCF 지원사업이었다. 금호산업은 그중 일부 공정을 캄보디아 현지업체 A사에 맡겼다. 하도급 계약일은 2012년 3월 23일, 계약금액은 153만420달러였다.

 

주목할 점은 A사가 하도급 계약의 대가로 금호산업 현지법인장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한 흔적이 포착됐다는 것이다. A사의 법인장 J씨가 작성한 '리베이트 문건'에는 이런 내용이 담겨 있다. "… K사 견적금액 150만 달러, 계약금액 153만420달러, 차액 3만420달러, 요청금액 3만 달러…." K사는 금호산업을 말한다. 견적금액은 A사가 실제 공사비용을 산출한 것이다. (견적보다) 계약금액을 부풀려 리베이트 자금(3만 달러)을 조성했다는 얘기다.

여기까진 빙산의 일각이다. 금호산업 현지법인장이 '50만 달러'를 추가로 수수한 정황도 있다. 수법은 교묘했다[※그림 참조]. 먼저 A사의 법인장 J씨가 일부 자금(30만 달러)을 캐나다로 송금한 뒤 다시 (자신의) 한국계좌로 보냈다. 이 돈은 J씨의 모친이 인출해 한국에 있는 A사의 대주주 M사에 전했다. 수사기관 관계자는 "자금세탁을 위해 캐나다를 경유해 자금을 보냈을 수 있다"며 "수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A사의 법인장 J씨는 캐나다 국적을 갖고 있다.

A사의 또 다른 자금도 한국의 M사에 유입됐다. 약 10만 달러는 M사 대표의 계좌, 9만5000여 달러는 M사 직원 4명의 통장으로 들어왔다. A사가 돈을 보낸 명목은 '투자금 회수'였지만 애당초 그런 건 없었다. 캄보디아에서 한국으로 돈을 보내기 위한 '서류작업'에 불과했다. 마지막으로 약 5000달러는 A사 직원이 한국으로 직접 가져왔다. 이런 방법으로 조성된 50만 달러(30만 달러+10만 달러+9만5000달러+5000달러)는 한국 M사로 찾아온 금호산업 현지법인장에게 전달됐다. '현금 50만 달러' 리베이트였다.

금호산업 현지법인장은 리베이트 수수의혹에 대해 "돈을 받은 적 없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당시 M사와 A사가 주고받은 이메일을 보면 금호산업을 위한 돈은 분명히 만들어졌고, 누군가에게 전달됐다. 양사 사이에서 오간 이메일을 살펴보자. 첫째 이메일은 A사 경리직원이 M사 대표에게 보낸 것이다. "…오늘로 금호송금 건이 마무리됐습니다. 5000달러는 오전에 한국에 도착하면 M사 직원에게 직접 전달하겠습니다. 30만 달러에 대한 부분만 처리되면 됩니다…."

둘째 메일에는 캐나다로 돈을 보냈다가 다시 한국으로 들여온 사실이 담겨 있다. 이는 A사 법인장 J씨가 경리직원과 M사 대표에게 보낸 이메일이다. "… 캐나다에서 도착금액 및 수수료를 알려드립니다. 추가해 보고서 만들어 M사 대표에게 월요일까지 전달해 주셨으면 합니다. 도착(캐나다) 299,636.08USD→Handling Charge 14.00USD, 299,622.08USD 한국으로 송금…."

마지막 메일엔 M사 대표가 '리베이트 자금'을 모으는 데 신경을 곤두세웠음을 알 수 있는 내용이 들어 있다. "… A사에서 자금을 송금할 때 보내는 사람과 송금사유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아시겠지만 외화 관련건은 한번 잘못하면 여러 부분이 망가집니다. 신중의 신중을 기해서 송금 바랍니다…." 이메일을 공개한 M사 대표는 "리베이트 자금을 조성하고 전달하는 데 일정 부분 역할을 했기 때문에 (나 역시) 처벌받을 각오가 돼 있다"고 말했다.

◆ [Rebate2] 극동건설, 리베이트 흔적 담긴 Voucher

극동건설은 2008년 캄보디아 3번 국도 개보수 (2차) 사업을 맡았다. 이 역시 EDCF 지원사업이었다. 2011년 7월 완료된 이 공사의 구간은 프놈펜~캄포트 137.5㎞. 금호산업처럼 극동건설도 일부 공정을 하도급 업체에 넘겼는데, A사의 자회사 B사였다. 극동건설과 B사는 2010년 72만8118달러 규모의 하도급 계약을 체결했다. B사는 안전시설 설치, 차선도색 작업을 담당했다.

이런 B사도 하도급 계약의 대가로 극동건설에 리베이트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B사의 2011년 6월 회계장부 지급목적란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쓰여 있다. "…Sale Commission For Project Road NO.3…" 금액은 1만9000달러, 지급방법은 수표(BPV2011-××××)였다. 'Project Road NO.3'는 극동건설이 진행한 3번 국도 개보수 (2차) 사업의 영문 명칭이다.

 

2011년 6월 ××일 작성된 B사의 '바우처(Voucherㆍ내부결제문서)'에도 Project Road NO.3 계약의 대가로 1만9000달러(Nineteen Thou sand Dollars Only)를 지급했다는 사실이 기록돼 있다. 이는 극동건설 캄보디아 현지법인 관계자 중 누군가가 B사로부터 리베이트를 수수했다는 걸 뜻한다. 극동건설 측은 '캄보디아 리베이트 의혹'에 대한 질의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지난해 9월 부도처리된 극동건설은 현재 법정관리 중이다.

◆ [Rebate3] 현대엠코, 배달사고냐 거짓말이냐

현대엠코는 2011년 11월 캄보디아 프놈펜 북부(3개주)에 걸쳐 있는 지방도로 개선사업을 수주했다. 캄보디아 지방개발부가 EDCF의 지원으로 발주했다. 사업구간은 프놈펜 북부 시엠립~캄퐁톰~캄퐁참 210.7㎞, 계약금액은 2100만 달러다. 현재 본공사가 진행 중이다. 극동건설ㆍ금호산업과 마찬가지로 현대엠코도 일부 공정을 하도급 업체에 맡겼는데, 공교롭게도 A사가 그 주인공이다. 양사는 502만 달러 규모의 하도급 계약을 체결했다.

그런데 현대엠코 역시 리베이트 수수 의혹를 받고 있다. A사의 법인장 J씨가 작성한 '리베이트 문건'에는 이런 내용이 담겨 있다[※참고: 금호산업 파트에서 언급한 '리베이트 문건'과 같은 것이다.] "…H사 견적금액 486만 달러, 계약금액 502만 달러, 차액 16만 달러, 요청금액 8만 달러…." H사는 현대엠코를 말한다. 견적금액은 A사가 실제 공사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돈이다. 금호산업의 사례처럼 견적보다 계약금액이 훨씬 많다. 차액 중 일부를 리베이트로 제공했다는 기록도 똑같다.

다만 현대엠코 관련 부문엔 더 자세한 기록이 남겨져 있다. "(현대엠코 측의) 요청금액 8만 달러 중 2만5000달러는 지급했고, 나머지 5만5000달러는 잔여 처리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특히 2만5000달러는 5000달러씩 5회에 걸쳐 제공한 것으로 기입돼 있다.

A사의 회계장부에도 현대엠코에 리베이트를 제공한 흔적이 있다. 2012년 3월 회계장부의 지급목적란에는 "Commission For AMCO"라고 쓰여 있다. 현대엠코를 위해 커미션을 줬다는 것이다. 명목은 이렇다. "Rural Road Improvement." 현대엠코가 수주한 지방도로 개선사업의 영문 명칭이다. 현대엠코가 2011년 11월에 이 사업을 수주했다는 점에 비춰보면 (리베이트 지급)시기가 맞아떨어진다. 회계장부에 적혀 있는 리베이트 금액은 1만 달러, 지급방법은 수표(BPV2012-××××)였다.

극동건설처럼 바우처ㆍ영수증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A사가 현대엠코 현지법인의 누군가에게 돈을 제공한 증거로는 충분하다. 수사기관 관계자는 "이 정도 문건은 증거능력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현대엠코 캄보디아 현지법인장은 리베이트 수수 의혹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어떤 돈도 받지 않았다"며 "지금이라도 당장 (한국으로) 들어가서 수사를 받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대엠코 측도 "그룹 감사에서 아무런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반박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회사 감사팀이 캄보디아로 직접 가서 관련 의혹을 조사했다. 문제의 J씨도 만났는데, 리베이트를 준 적이 없다고 밝혔다." 현대엠코와 현지법인장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리베이트 자금이 들어간 '입구入口'는 있는데, '출구出口'가 없다는 얘기다.

두 가지 가정이 가능하다. 첫째는 A사 법인장이 작성한 '리베이트 문건'과 A사의 '회계장부'에 기록돼 있는 리베이트 관련 내용이 허위라는 것이다. 누군가가 현대엠코로 돈이 빠져나간 것처럼 꾸미고 뒷돈을 챙겼다는 얘기다. 둘째는 현대엠코 현지법인장이 실제로 돈을 받았음에도 '모르쇠'로 일관하는 것이다. 진실의 열쇠를 쥐고 있는 A사 법인장 J씨는 이메일로 보낸 서면질의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입구는 있는데 출구가 없다"

이처럼 캄보디아 건설현장은 '리베이트 파문'으로 홍역을 앓고 있다. 문제는 캄보디아 현지법인 A사ㆍB사의 회계장부가 지난해 5월까지 작성된 것이라는 점이다. A사ㆍB사의 전체 장부를 확인하면 더 많은 리베이트가 오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리베이트로 전달된 자금이 EDCF라는 사실도 충격적이다. 국민의 혈세가 '리베이트'로 전락했다는 의미라서다.

 

더 큰 문제는 기업이 마음만 먹으면 EDCF 지원금을 뒷주머니에 챙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리베이트 의혹을 살펴보면, 국내 건설사와 현지업체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불법ㆍ편법으로 조성된 자금이 오갔다.

이유는 별다른 게 아니다. EDCF 지원사업을 낙찰받은 기업이 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땐 승인ㆍ보고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EDCF 지원사업의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얘기다. EDCF를 관리ㆍ운영하는 한국수출입은행 관계자는 "본사업의 입찰과정에는 투명성ㆍ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등 관여를 한다"며 "하지만 낙찰받은 기업이 하도급 계약을 체결하는 것까지 승인하거나 보고를 받진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EDCF 지원사업은 원칙적으로 수원국受援國 정부 또는 사업시행기관의 책임 하에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리베이트 파문'의 공은 이제 수사기관으로 넘어갔다. 검찰은 A사 법인장 J씨를 조만간 소환해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J씨는 현재 기소중지 상태로, 입국과 동시에 수사가 시작된다. 사실상 지명수배 단계다. 세 건설사의 현지법인장은 그다음 수사를 받는다. 검찰 관계자는 "A사 법인장이 캄보디아에서 들어올 때까지 기소를 중지했다"며 "A사 법인장을 먼저 수사한 뒤 세 건설사 현지법인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A사 법인장은 배임중재, 업무상 횡령, 현지법인장들은 배임수재 혐의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회계장부' '리베이트 문건' 등에는 A씨가 돈을 주고, 현지법인장들이 돈을 받은 정황이 기록돼 있다. 하지만 A씨는 말이 없고, 현지법인장들은 '받지 않았다'며 목소리를 높인다. 사람과 기록 중 한쪽이 '거짓'을 씹고 있다.

이윤찬 기자 chan4877@thescoop.co.kr|@chan4877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