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전폭적인 정책 지원에 지난해 전국에 8만3천 가구 이상이 공급되면서 모두 10만 가구를 넘어섰다.
대형건설사들도 별도 브랜드를 내놓고 잇따라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수익성을 노려 가구 수 늘리기에 치중하면서 ''초소형 쏠림'' 현상이란 새로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부동산써브의 조사 결과 지난해 말 현재 서울시내 도시형생활주택 중 전용면적 30㎡ 미만은 84%를 넘어섰다.
종로구와 성동구는 무려 99%를 넘는 등 90% 이상도 8개 구에 이른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은 "초소형 면적의 공급량이 집중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공급과잉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3인 가구 이상의 수요를 흡수하는 데도 한계가 있어 당초 정책목표였던 전월세시장 안정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공급과잉에 따른 부작용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강서구 공항동 삼성공인 남궁건철 대표는 "이미 공급 과잉으로 물건이 남아도는 데다 너무 작아서 투자매력이 사라진 상태라 솔직히 매매가 안된다"면서 "전세난 해소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원룸 등의 대체기능밖에 하지 못해 홀로 사는 사람이나 자녀를 갖지 않는 가구만 양산하는 꼴"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3가구당 한 대 정도인 주차공간 기준이 주차난을 유발하면서 동탄신도시와 세종시 등과 같이 도시형생활주택 공급을 제한하거나 보류하는 지역도 나오고 있다.
어느새 오피스텔을 추월한 높은 분양가도 수익률 저하 등 부작용을 낳고 있다.
서울 일부지역은 3.3㎡당 분양가가 3천만 원을 넘는 곳도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3인용인 전용 30~50㎡의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을 건설할 경우 국민주택기금지원 한도를 상향하는 등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공급자들이 초소형을 선호하는 상황에서 얼마나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면적별 공급물량 조절 등이 없을 경우 도시형생활주택은 전세난의 구원투수가 아닌 새로운 미분양 애물단지로 전락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