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을 위해 연관산업의 파급효과가 큰 건설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건설활동이 제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산업 생산액 10억원당 고용유발인원이 10.8명으로 제조업 평균 6.5명보다 1.7배나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경우 고용창출효과도 단기간 내에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건설산업, 연관산업 파급효과 높아…고용과 생산 유발
2020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건설산업의 총산출이 연관산업의 고용을 어느 정도 유발하는지 계산한 결과 건설산업의 총산출액 281조원에 의한 연관산업의 취업유발 인원은 126만 3천여명에 이르렀다.제조업 분야 취업유발 인원은 33만 8600명으로, 제조업 전체 취업자의 10.4%를 차지했다.
또 건설활동은 철강, 시멘트, 기계․장비 등 연관산업 생산 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관산업의 생산유발효과도 높은 편이다. 생산유발계수는 2020년 기준 2.017로, 전산업 평균 1.875보다 10.5% 높은 수준이다.
건설산업의 총산출이 연관산업의 생산을 얼마만큼 유발했는지를 살펴보면 건설산업의 총산출액 281조 원에 의한 연관산업 전체 생산유발액은 284조 원에 달했다.
건설산업에서의 최종수요 증가가 다른산업에서의 최종수요 증가보다 전체 산업의 고용과 생산 증가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건설투자를 5조원 확대할 경우 제조업 고용 6천여명을 포함해 전산업 고용이 5만4천명(건설 고용 3.2만명 + 연간산업 고용 2.2만명)일어나고 연관산업 생산도 5.1조원 유발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정부가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건설투자를 확대할 경우 건설 고용 확대는 물론이고 제조업 등 연관산업의 경기 활성화 및 고용 확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건설투자 확대 필요…불합리한 관행 타파, 국산 중간재 사용
산업연구원은 "우리 경제가 침체국면에서 하루빨리 벗어나기 위해서는 해당산업은 물론 연관산업의 파급효과가 높은 건설투자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보고서는 공공건설공사의 조기 완공을 위한 건설투자의 조기 집행과 공사 단가 현실화,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공사비 조정, 시공사에 대한 불합리한 비용 전가와 같은 불공정 관행 개선 등을 통해 건설공사 활성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앞으로 국가 예산이 투입되어 건설 중인 공공 공사에 필요한 원자재, 기계·장비 등 중간재의 경우는 국산 사용을 확대할 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박훈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은 "중소기업중앙회 등 중소기업을 대표하는 단체와 건설단체 간의 협력관계 강화를 통해 건설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대규모 물량을 국내 중소기업으로부터 조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