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소비자물가가 2%대 초중반으로 올라 지난해보다 상승세가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지만 농산물 물가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12월 소비자물가는 넉 달 연속 1%대를 기록한 가운데 상승폭은 전월보다 확대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지수는 114.18(2020년=100)로 지난해보다 2.3% 올랐다.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0.5% 이후 2021년 2.5%, 2022년 5.1%로 치솟았고 지난해도 3.6%로 '고물가' 흐름이 이어졌는데, 올해는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가 제시했던 물가안정목표(2.0%)를 여전히 웃돌았지만, 당초 정부 전망치(2.6%)보다는 0.3%p 낮다.
과일 가격 상승과 여름 폭염·폭우 영향으로 올해 농산물 가격은 높은 흐름을 나타냈다.
농산물 물가는 10.4% 올라 2010년(13.5%)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귤과 사과 가격은 각각 46.2%, 30.2% 올랐고, 배 물가 상승률은 71.9%를 기록했다.
밥상 물가를 보여주는 과일과 채소 등 신선식품 지수는 지난해보다 9.8% 뛰어 2010년(21.3%)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신선식품 물가 상승률이 9%대에 들어선 일도 5년 만이다. 특히 위의 배, 귤, 사과 등의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신선과실 물가 상승률은 2004년(24.3%)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이처럼 먹거리 가격이 뛰면서 시민들이 자주 구매해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 위주로 구성된 '장바구니 물가'인 생활물가지수도 2.7% 올라 '고물가'로 부를 수 있는 3%에 근접했다.
반면 석유류 가격은 1.1% 내렸다. 지난해(-11.1%)에 비하면 하락 폭은 크게 축소됐는데, 국제유가 하락세가 축소됐고 유류세 인하 조치가 일부 환원된 영향으로 보인다.
다만 석유류 외에 가공식품(1.8%), 섬유제품(3.4%), 내구재(1.5%), 기타 공업제품(1.4%) 등이 모두 올라 공업제품은 1.5% 상승했다.
또 서비스(2.2%), 전기·가스·수도(3.5%) 등은 모두 오름세를 보였지만, 먹거리의 오름폭이나 지난해에 비하면 상승세가 둔화됐다.
이로 인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기준으로 쓰는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2.2% 올랐고, 또 다른 근원물가인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2.1% 올랐다.
12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9% 올랐다.
올해 월별 물가상승률은 2~3월 3%대에서 4월 2%대에 진입한 후 오름세가 약화하다가 지난 9월(1.6%)부터 1%대로 내려왔다.
그러나 고환율 등 영향으로 12월 물가 상승률은 다시 2%대에 근접하고 있다.
석유류 가격은 지난해 낮았던 기저효과에 더해 환율이 치솟으면서 1.0% 올라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농산물 가격도 작황 부진에 따른 출하 부족으로 2.6% 올라 전월(0.3%)보다 상승률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최근 두 달 연속 2% 아래였던 신선식품지수는 12월에는 2.9% 올랐고, 생활물가지수도 석유류 가격 상승 등으로 2.2% 올라 전월(1.6%)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반면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와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모두 1.8%씩 올라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내년 1월에는 설 성수품 수요 등으로 상방압력 확대가 예상된다"며 "확고한 물가 안정기조가 정착되도록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