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부담하는 높은 수준의 주거 비용이 소비 회복을 제약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주거 지원과 빈곤대책이 시급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일 공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5.5%로 가장 컸고, 코로나19 이후 증가 속도도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1인 가구의 평균 소비 성향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다른 가구보다 더 크게 악화해 경제 전체의 소비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1인 가구의 평균 소비 성향 약화의 원인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을 거치면서 오른 주거비가 지목됐다.
1인 가구 지출 가운데 2023년 기준으로 월세 등 주거·수도·광열비 비중이 평균 20%를 넘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월세 수준이 높아지면서 특히 청년층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1인 가구는 생활비 지출 비중이 높은데 팬데믹 이후 생활 물가가 빠르게 상승하고 높은 변동성을 보임에 따라 이들의 소비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층 1인 가구의 경우 코로나19 경제 충격 당시 임시·일용근로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겪은 '상흔(상처) 효과'가 상당 기간 이어져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다른 가구원들과 경제 충격을 분담하기 어려운 1인 가구의 구조적 특성 등도 소비성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전체 소비지출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들 가구의 소비성향 둔화는 우리 소비의 구조적인 제약 요인"이라며 내수 기반을 튼튼히 하기 위해선 이들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긴요하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이 절실하고, 고령층 1인 가구는 열악한 고용·소득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 실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